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에나·단디·배끼·보도시' 진주 지역어 빠르게 소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상대 박용식 교수 "학생들이 지역어 사용 부끄러워하는건 교육·행정 실패"

시의회서 '지역어 부흥 정책' 위한 기초조사·보존방법 발표

연합뉴스

하늘에서 본 진주시가지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진주=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에나(진짜), 단디(확실하게), 배끼(공연히), 보도시(겨우)…"

경남 진주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지역어가 급격히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상대 국어문화원장인 박용식 교수 등 4명이 조사한 '지역어 기초조사 및 보존방법에 대한 연구'에서 밝혀졌다.

박 교수는 지역 초·중·고등학생과 대학생, 성인 등 모두 302명을 대상으로 서면 조사한 결과 진주의 대표적 지역어인 '에나'는 초등학생은 80% 이상, 중학생은 60% 이상이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단디'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40%가량이 사용하는 데 그쳤다.

'배끼'와 '보도시'는 초·중·고등학생은 거의 안 쓰거나 쓰더라도 10% 미만에 불과했다.

대학생과 성인도 사용한다고 대답한 경우가 20%를 넘지 않았다.

박 교수는 "우리 지역 학생들이 같은 동네에서 컸던 자기 또래들과 지낼 때는 거리낌 없이 사용하다가 사회에서 다른 지역어를 쓰는 사람을 만나면 자기가 써 오던 말을 스스로 부정하면서 표준어에 가깝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또 "우리 지역어가 '선물'이 될 것인지 '장애'가 될 것인지는 우리 지역민들이 우리 문화의 자긍심을 얼마나 가지느냐에 달려 있다"며 "지역의 학생들이 지역어 사용을 부끄러워한다면 그것은 교육과 행정의 실패"라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이날 시의회에서 '지역어 부흥 정책'을 강조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choi21@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