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광화문 '세월호 기억광장'에 찬반 논쟁 가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5일 광화문광장의 세월호 추모 천막을 걷어내고 기억 공간을 만들겠다고 밝힌 데 대해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찬성 측에서는 국가적 참사를 기억·반성할 공간이 필요하고 광장에 약자의 목소리를 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여론 수렴 없이 세월호 공간을 만드는 데 대한 비판도 불거지고 있다.

서울시의회 여명 자유한국당 의원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경기도 안산시가 세월호 추모 공원을 추진하고 있는 와중에 박 시장의 발표는 광화문광장의 정치 중립성 훼손 여부를 떠나 노골적인 ‘자기 정치’”라고 비판했다.

여 의원은 “2017년 한 해에만 200여명의 서울시민이 ‘광화문광장을 시민에게 돌려달라’고 민원을 제기하는 등 광화문광장의 정치화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광화문광장의 정치중립성을 (박) 시장이 앞장서서 위배하고 있다는 여론의 지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질의했다.

세계일보

5년째 광화문광장을 지키고 있는 세월호 추모 천막. 연합뉴스


여 의원은 이어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경기도 안산시에서조차 추모공간 합의가 어려운 상황을 시장은 알고 계신가”라며 “광화문광장은 서울시민 모두의 열린 공간이자 수도 서울의 심장을 가로지르는 상징적 장소인데 기억 공간 조성을 왜 세월호 유가족 측과만 협의하고 시민 여론은 수렴하지 않는가”라고 밝혔다.

앞서 박 시장은 지난 5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자 304명 합동분향소’ 설 합동 차례에 참석해 “참석 5주기가 되는 4월 전에 (참사를 추모할) 기억의 공간,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공간으로 작게 구성하는 쪽으로 유가족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5건의 반대 의견이 올라오는 등 찬반 여론이 엇갈리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서울시 조례를 보면 광화문광장은 사용 목적이 ‘시민의 건전한 여가 선용과 문화활동 등을 위한’ 것으로 명시돼 있다”며 “대다수 시민이 찬성하면 조례를 바꿀 수 있겠으나 현재로서는 세월호 천막은 목적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런 식으로 계속 허용하면, 국민이 원치 않는 불상사가 발생할 때마다 계속 광장이 잠식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세계일보

반면 국가적 참사인 세월호를 기억·반성하기 위해 광화문광장에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들은 여전히 세월호 진상 규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에 경각심을 일깨울 구조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임형남 가온건축 공동대표는 “광화문광장이 공공 장소이고 (그 쓰임새에) 모든 이의 합의가 이뤄져야 하는 건 맞지만 오랜 세월 많은 이들이 (세월호와 관련해) 광장에서 고생했고 대통령도 참배했다”며 “과하지 않게 기억공간을 설치하는 건 괜찮다고 본다”고 밝혔다. 임 대표는 “광화문광장 자리는 조선시대부터 억울한 이들이 임금 행차를 기다렸다가 상소한 공간이었다”며 “(시민이) 직접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건 나쁘지 않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