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1670일… 세월호 천막 걷어내고 '기억 공간' 만든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원순 시장 "유가족과 협의 중"

광화문에 길이 20m·폭 3m 공간, 서울시가 내달까지 세워 운영

세월호 사고 직후인 2014년 7월 진상 규명을 요구하며 서울 광화문광장에 들어선 세월호 천막이 3월 철거될 것으로 보인다. 대신 이 자리에 서울시가 운영하는 세월호 기억 공간이 들어설 예정이다. '불행한 사건을 두고두고 기억해 교훈으로 삼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시설이 나라를 대표하는 광장에 들어서는 것이 합당한가' 하는 논란이 예상된다. 현재 광화문광장 지상의 상설 공공시설은 긍지의 상징으로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이순신·세종대왕 동상뿐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5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자 304명 합동분향소' 설 합동 차례에 참석해 '기억공간' 설립 계획을 밝혔다. 박 시장은 "참사 5주기가 되는 4월 전에 (세월호 참사를 추모할) 기억의 공간,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공간으로 작게 구성하는 쪽으로 유가족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날 합동 차례를 개최한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도 "3월에 시민을 위한 광화문 기억공간이 개관하도록 시와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남쪽에 세월호 천막이 들어서 있다. 서울시와 유가족 측은 이르면 오는 3월 천막을 철거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 자리에는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기억 공간’이 들어선다. /이태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화문광장의 세월호 천막은 현재 14동이 있다. 광화문광장 남쪽 양편에 길이 3m, 폭 3m 천막이 7동씩(길이 21m) 마주 보고 있다. 세월호 유가족이 진상 규명을 요구하며 합동분향소를 포함한 천막 3동을 무단으로 세운 이후 정부가 서울시에 '유족의 편의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해 천막 11동이 추가로 설치됐다. 지난 2014년 8월 태풍 나크리가 왔을 때와 같은 달 프란치스코 교황이 방문해 일시 철거한 때를 제외하고 줄곧 광장을 점유했다. 7일 현재 1670일째다.

시는 천막 자리에 컨테이너나 목조 구조물을 세우고 내부에는 참사를 추모할 전시 작품 등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공간 전체 넓이는 길이 20m, 폭 3m가량 될 예정이다. 현재 광장 양편에 설치된 천막 중 한쪽 면적과 비슷하다. 향후 운영은 시에서 맡는다. 시는 '기억공간' 설치를 위해 예산 2억원을 확보했다. 컨테이너 등 건축물 설치에 1억5000만원, 전시작품 설치와 공간 연출에 5000만원이 잡혔다.

시는 이번에는 천막 철거가 실제로 이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참사 4주기를 앞두고 철거를 추진했으나 유가족과 협의가 불발돼 성사되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는 유족 측에서 먼저 철거하겠다고 나선 데다 내년에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를 앞두고 있어 정리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다만 기억공간 운영 기간에 대해서는 협의가 끝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기억공간 운영을 종료하고) 최대한 빨리 시민에게 광장을 돌려 드리고 싶다"고 했다. 반면 전명선 운영위원장은 6일 본지 통화에서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것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대표적 시민 광장에 장기 농성의 결과로 상설 시설이 들어선다는 사실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는 장기간 점거한 천막을 시에서 상설 공간으로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떼법이 통한다는 나쁜 선례를 남겼다"며 "서울시는 시민의 세금으로 모두의 공간인 광장에 특별히 세월호 추모 공간을 남기는 합당한 이유를 시민들에게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재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교 교수는 "세월호 천막 중 일부는 합법이지만 4년 넘게 광장을 불법으로 점거해온 천막까지 서울시가 인정해준 꼴"이라며 "광장을 또다시 정치와 이념 대결의 장으로 만들지 말고 하루빨리 시민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이해인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