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광주형 일자리’ 첫발 뗐지만…노조반발 등 첩첩산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해 12월 5일 현대차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좌초 위기에 놓였던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상이 30일 극적으로 타결됐다. 임금 및 단체협약 5년 유예조건이 발목을 잡았지만 현대차가 한발 양보하면서 타결로 급선회했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가 제대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사업성 논란, 공급과잉, 노조의 반대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광주형 일자리는 2014년 6월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윤장현 광주시장의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한 일자리 1만개 창출’ 공약에서 출발했다. 윤 전 시장은 2000년대 초 독일 폭스바겐이 실시한 ‘아우토(Auto)5000’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5000명의 실업자를 기존 생산직의 80% 수준인 월급 5000마르크(약 300만원)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게 주된 내용이었다. 광주형 일자리 역시 기존 완성차업체 임금의 절반 수준의 적정임금을 유지하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주택, 교육지원 등 사회임금을 통해 소득을 보전하자는 게 핵심이다.

광주형 일자리는 지난해 6월 현대차가 광주시에 완성차 공장 지분투자의향서를 제출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문재인 대통령까지 올해 들어 광주형 일자리를 거듭 언급하면서 투자협상 타결에 힘을 실었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빛그린산단 내 62만800㎡ 부지에 자기자본 2800억원, 차입금 4200억원 등 총 7000억원을 투입해 1000㏄ 미만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연간 10만대 양산할 예정이다. 부지와 공장 설비를 합쳐 고정자산은 5000억원 이상, 정규직 근로자는 신입 생산직과 경력 관리직을 합쳐 1000여명, 간접고용까지 더하면 1만~1만200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조선비즈

현대차 울산공장. /조선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시가 광주형 일자리를 공약화한 지 4년 7개월, 현대차가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지 7개월 만에 투자협상이 타결됐지만 여전히 우려의 시선이 많다.

당장 민주노총과 현대차 노조, 기아차 노조 등 대기업 금속노조의 반발이 예상된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해 12월 6일 광주형 일자리 추진에 반대하며 파업을 벌였다. 현대차 노조는 "기술 경쟁력 하락으로 현대차가 위기에 진입했기 때문에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은 사업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며 "정부는 차라리 폐쇄된 한국GM 재가동 등 기존 유휴시설을 활용하는 일자리 창출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광주형 일자리를 추진하면 총파업 등 총력 투쟁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도 있다. 국내 경차 수요가 부진한데 경차 공장을 짓는다는 발상 자체가 잘 못 됐다는 논리다. 실제 2017년 13만8200대가 팔렸던 경차는 지난해 12만5900대로 줄었다. 여기에 광주 경차공장까지 신설되면 공급과잉 문제가 커질 수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광주형에서 만들어지는 경차는 기아차 모닝과 레이, 한국GM 스파크, 쌍용차 티볼리, 현대차 코나 등과 경쟁을 해야 한다"며 "시장 파이는 줄어드는 상황에서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하게 되면 또 다른 구조조정과 정리해고에 이어 공장폐쇄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창환 기자(ch21@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