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기고]창업, '사업화'가 관건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의준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경영학박사)]
머니투데이

제대로 된 기업 하나 생기는 게 절실한 시대다. 아이 태어난 것 못지않게 경사스런 일로 잔치라도 해줘야 하지 않나 싶다. 작금의 사회적 이슈가 일자리 증가와 경기부양인데 유망한 기업의 탄생이 그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거 지자체가 앞다퉈 외부 기업 유치에 열을 올렸다면 이제는 아예 지역에 기업 만들기, 즉 창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 창업기업 하나에 평균 3.5명의 고용이 이뤄지니 그럴만하다.

문제는 창업기업의 생존연한이 짧다는 점이다. 창업기업의 1년 생존율(2015년)은 62.4%, 5년 생존율은 27.5%에 불과하다. 생존이 어려운 이유는 충분치 못한 자본과 사업화 지연이나 실패다.

상당수 창업기업이 영세한 자본으로 출발한다. 신설법인의 75.6%가 자본금 5000만원 이하며 청년창업의 70%가 소자본업종에서 일어난다. 하지만 창업자금은 당초 계획보다 더 많이 들어간다. 제품의 완성이나 판매 등 사업화가 늦어지면서 예상 수입이 발생하지 않거나 기대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창업가는 침몰비용(sunk cost)에 미련을 두거나 성공이 불확실한 사업을 끌고 나간다.

반대로 조금만 참고 버티면 성장궤도에 오를 만한 기업도 있다. 이들에게는 정부 지원이 마중물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정부 지원 프로젝트에 참여해 사업화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인정받고 자금도 확보할 수 있다.

최근 창업 못지않게 창업 이후 사업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도 사업화의 중요성을 반영해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했다. 2019년 창업예산은 14개 부처 69개 사업에서 총 1조1180억원 규모로 전년보다 43.4% 증가했다. 주무부처인 중기부는 총 997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89.2%가 증가했다. 행정안전부는 362억원으로 3.2%, 고용노동부 280억원으로 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2억원으로 1.4% 증가했다. 전체 창업지원에서 창업의 사업화가 5130억원으로 45.9%가 증가했으며, 연구·개발은 3797억원으로 33.9%, 시설·공간은 1493억원으로 13.4% 증가했다. 이러한 출연금 성격의 지원 외에도 융자, 보증, 투자를 포함하면 그 규모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예산규모가 큰 사업은 초기창업패키지(창업 후 3년 미만)와 예비창업패키지(예비창업자) 사업으로 각각 1027억원과 1010억원을 지원한다. 이어 청년창업사관학교(창업 3년 미만, 39세 미만 창업지원) 922억원, 창업도약패키지(창업 3~7년) 840억원이다. R&D(연구·개발)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창업 7년 이내)이 3733억원에 달한다. 각종 창업공간이나 시설·보육사업이 1490억원, 창업교육이 470억원, 컨설팅이나 멘토링 222억원, 창업경진대회가 66억원이다.

이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창업정보 포털시스템(www.k-startup.g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창업은 아무나 할 수 있다. 하지만 누구나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다산다사(多産多死)로 상당수가 수년 내에 망한다.

따라서 열정과 아이디어로 창업에 뛰어들더라도 충분한 시간과 자금을 확보한 ‘준비된 창업’이어야 한다. 또는 창업단계부터 창업아이템에 맞는 정부 지원을 눈여겨보고 적절히 활용하는 게 필요하다. 다만 정부 지원에 전적으로 매달리기보다 스스로 일어설 때까지 제한적으로 활용하려는 자세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의준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경영학박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