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서소문사진관]이 곳에 가면 '노다지'있다, 울산의 '엘도라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최대 황금 제련소를 가다

구리광석 3톤 정제하면 순금 10돈(37.5g) 나와…

중앙일보

국내 최대 금 제련업체인 울산 'LS-Nikko동제련'에서 생산한 금괴 더미. 2017년 한 해 생산량만 약 41톤이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년은 기해년(己亥年)이다. 황금빛을 뜻하는 ‘기(己)’가 12지신 중 돼지를 뜻하는 ‘해(亥)’와 만났다. 풍요를 의미하는 황금과 돼지가 만났으니 곱절로 길(吉)하다는 해다. 기해년을 앞두고 황금의 기운이 짙게 풍기는 울산의 국내 최대 순금 제련소를 찾았다.

경기가 어려울 땐 금값이 오른다. 동서고금을 가로지르는 안전자산이기 때문이다. 전 세계 어딜 가도, 타임머신을 타고 어느 시대를 가도 금과 바꿀 수 없는 물건은 없을 터다. 화폐경제 시대에도 각국의 중앙은행이 금을 보유하는 이유다. 여기까진 상식이다. 그러나 순금(純金)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아는 이는 드물다.

당장 흐르는 강물에서 사금(砂金)을 채취하는 장면이 떠오른다. 아프리카 인권보호단체의 잠입 르포로 익숙한 장면이다. 시대를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면 금광이나 금맥에서 원석을 캐내는 광부를 떠올리기도 할 것이다.

중앙일보

3만5000톤급 벌크선에 실려 온 동정광(분말형태로 정제된 동광석)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공장으로 운반된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칠레 에스콘디다 광산에서 수입된 동정광은 30% 이상의 구리가 포함된 고품위 원료다. 국제 평균인 25%에 비해 순도가 높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사내 전시실에 마련된 동광석 표본. 한국에는 동광석을 정제해 분말 형태로 만든 동정광이 수입된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상은 보다 육중하다. 어린아이의 고사리손이 아닌 거대한 기계설비로 가득하다. 국내 최대 금괴 제작업체인 LS-Nikko동제련소가 그렇다. 울산의 온산국가산업공단에 위치한 이곳 제련소에선 2017년 한 해에만 약 41톤의 금괴를 생산했다.

중앙일보

동정광을 녹인 1250도의 구리물을 틀에 부어 동판인 '정제조동(99.5%)'을 생산하는 공정이 한창이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제련’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동(구리) 생산이 주 업무다. 순도를 높인 분말 형태의 구리 광석인 동정광을 수입해 용광로에서 녹인 다음, 전기분해로 순도 99.99%의 전기동(불순물을 제거한 구리)을 추출한다.

중앙일보

정제조동은 약3주간 황산용액이 담긴 초대형 수조에서 전기분해가 진행되면 비로소 순도 99.99%의 전기동으로 완성된다. 이 과정에서 침전된 끈적한 슬라임을 모아 정제하면 금,은,백금,셀레늄,팔라듐 등이 추출되게 된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슬라임(slime)’이 발생한다. 동광석 제련 과정에서 생긴 침전물이다. 이 슬라임을 정제하면 금뿐만 아니라 은과 백금 등 여러 가지 귀금속을 얻을 수 있다. 금 10돈(37.5g)을 얻기 위해선 약 3t의 동광석이 필요하다. 아울러 셀레늄, 팔라듐 같은 생소한 희소금속도 추출한다는 것이 현장 관계자의 설명이다.

중앙일보

LS-Nikko동제련에서 생산한 금괴중 가장 큰 규격인 12.5kg 금괴. 들고 서있기 벅찬 무게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10g, 100g 미니골드바. 1kg 금괴에 비해 가격부담이 적고 보관이 용이하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은 귀금속 생산라인에서 10g·100g·1㎏·12.5㎏ 등 총 4가지 규격으로 제작된다. 어른 팔뚝만 한 크기인 12.5㎏ 금괴는 2018년 12월 12일 기준 시세로 5억6000여만 원에 달한다. 이곳 생산라인에서 만들어진 금괴는 국내외 시장에 공급돼 귀금속과 산업 소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LS-Nikko동제련은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런던금시장연합회(LBMA)에 등록돼 세계 시장에서 순도와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중앙일보

귀금속 생산라인에서 나오는 작업자가 검색을 받고 있다. 공장을 드나들수 있는 유일한 출입구에는 금속탐지기까지 설치했다. 신발까지 벗고 검사를 마쳐야 공장을 나설 수 있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무장한 호송관이 생산된 금괴를 잠금장치가 있는 철제 상자에 옮겨 넣고 있다. 금괴는 특수차량으로 운반된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가의 금속을 취급하다 보니 보안은 필수다. 귀금속 생산라인의 내·외부를 43대의 CCTV가 24시간 감시한다. 인가된 인원만 드나들 수 있는 유일한 출입구에는 금속탐지기까지 설치했다. 신발까지 벗고 검사를 마쳐야 공장을 나설 수 있다.

LS-Nikko동제련의 2017년 매출액은 약 7조4000억원에 이른다. 전체 직원 규모가 850여명인 점을 고려하면 1인당 매출액은 80억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중앙일보

분석실의 연구원이 금을 액체로 만들어 순도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을 마친 용액은 다시 공장으로 돌아간다. 김현동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영열(57) 직장(생산직 직급)은 귀금속 생산라인을 준공했던 1980년부터 40년 가까이 현장을 지켜 온 베테랑이다. 유 직장은 "LS-Nikko동제련은 구리 종주국인 칠레에 귀금속 회수 플랜트를 수출할 정도로 세계 최고 기술력을 갖췄다"며 "함께 땀 흘린 선후배의 웃음과 땀방울이 눈에 선하다"고 말했다.

사진·글 울산=김현동 기자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네이버에서 '중앙일보' 구독 후 안마의자 받자!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