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광주형 일자리 잠정합의"…현대車노조 반발이 변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시에 완성차 생산과 관련한 새 일자리가 1만1000개 생길 전망이다.

광주시를 비롯해 한국노총이 중심이 된 광주 노동계, 현대자동차 등 지방자치단체·노조·기업이 일자리 창출이란 목표에 대타협하면서 일궈낸 것이어서 최종 결과가 주목된다.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4일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핵심인 직접 고용 1000명과 간접 고용(협력업체 등) 1만명 등 모두 1만1000개 일자리를 만드는 광주 완성차 공장 건립안에 대해 현대차와 오늘(4일) 잠정 합의했다"면서 "이에 따라 5일 지역 노동계, 경영계,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노사민정협의회를 열어 협상안을 공동 결의하고 6일 현대차와 투자협약 조인식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른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 노동계 등이 협상 전권을 광주시에 위임한 만큼 5일 노사민정협의회에서는 이견 없이 공동 결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4일 잠정 합의가 사실상 광주 완성차 공장 건립을 위한 광주시와 현대차 간 협상 타결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협상이 완전 타결되면 연간 10만대 생산 능력을 갖춘 광주 완성차 공장 신설법인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7만대 이상을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임금은 주40~44시간 근무에 연 3500만원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설법인은 최대주주인 광주시가 운영하고, 2대 주주인 현대차는 경영에 개입하지 않고 제품 생산 위탁과 판매, 생산라인 구축만 담당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1997년 국내에 자동차 공장이 건립된 이후 첫 사례"라면서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장인 만큼 공익성과 수익성 사이에서 운영의 접점을 찾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와 관련해 이 같은 내용으로 광주 완성차 공장 신설법인을 설립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별도로 노사정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협상안에 대해 노동계 등 추인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광주시는 신설법인이 설립되면 구체적인 협상을 추가로 이어갈 방침이다.

하지만 이런 광주시 발표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와 현대차노조가 협상안을 최종 추인할지가 관심사다.

특히 현대차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 추진 시 파업에 나서겠다"고 밝히고 있어 광주시와 현대차가 현대차노조를 설득해 진정한 지자체·노·사 대타협의 모범 사례를 남길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면서 "무엇보다 지자체, 노동계, 기업 등이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하나가 돼 힘을 모았다는 점에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한예경 기자 / 광주 = 박진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