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비위 적발' 靑특감반원 진술 곳곳 불분명…대검, 고강도 감찰(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비위 정황이 포착돼 검찰로 복귀 조치된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특감반) 파견 수사관이 감찰 조사에 내놓은 진술에는 앞뒤가 맞지 않거나 불분명한 부분이 여러 곳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명확한 사실관계를 토대로 징계 여부와 수위를 정해야 하는 검찰로서는 강도 높은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2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대검 감찰본부는 주말 사이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반부패비서관실의 특감반에서 복귀한 김모 수사관에게 비위 의혹과 관련한 진술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사관은 지난달 경찰청 특수수사과를 방문, 자신의 지인이 연루된 공무원 뇌물 사건에 대한 진척 상황을 물어본 사실이 드러나 청와대 자체 감찰을 받고 검찰로 복귀 조치됐다.

그는 이 사건 외에도 다른 특감반원들과 부적절한 골프 회동을 가졌다거나, 자신의 감찰 대상이 되는 정부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승진 이동을 하려고 공개모집에 응한 의혹 등도 받는다.

지난달 30일 청와대로부터 비위 내용을 통보받은 대검은 바로 감찰에 착수해 김 수사관을 둘러싸고 제기된 의혹 전반에 관해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김 수사관은 대검 조사에서 청와대 자체 감찰 때와 다른 이야기를 하거나 사실관계와 맞지 않는 말을 하는 등 진술 내용에 석연치 않은 부분이 여럿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수사관이 평소 알고 지낸 민간 업자와 골프를 쳤으며 청와대 내 다른 특감반 등에 속한 직원 일부도 골프 회동에 동참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적이 있지만 해당 업자는 골프를 친 적이 전혀 없다고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사관 외에 다른 청와대 직원들도 골프를 친 사실은 있지만 주말에 비용을 갹출해서 친 것으로 청와대는 파악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김 수사관을 상대로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일 것으로 관측된다. 조사 과정에서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필요할 경우에는 자금추적이나 통신자료 확인 등 강제수사 방식을 동원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김 수사관을 여러 번 불러 조사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검찰은 김 수사관 외에도 청와대에서 복귀한 복수의 수사관에 대해 비위 의혹의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일부 수사관에 대해서는 산업자원부에 압력성 청탁을 했다는 의혹 등이 제기된 상태다.

현재 청와대에서 복귀 조치돼 감찰 대상에 올라 있는 검찰 수사관은 5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sncwoo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