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이스라엘 정치인들, 하마스 공격 빌미로 갈등 되레 부추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누르 오데 PLO 집행위원 인터뷰
한국일보

그림1 [저작권 한국일보]누르 오데 PLO 집행위원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평화의 조건은 국제법이 기준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이스라엘 총선에서는 누가 더 많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살해할 수 있느냐를 놓고 이스라엘 정당 사이에서 선명성 경쟁이 벌어질 것입니다.”

이달 초 발생한 하마스의 로켓공격과 이스라엘의 대응 수위를 둘러싼 이스라엘 정치권의 갈등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화해 가능성은 더욱 불투명해졌다. 누르 오데(40)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집행위원 역시 이번 사태는 양측 강경세력의 득세를 부추길 것이라고 우려했다. 팔레스타인 역시 대(對) 이스라엘 노선을 놓고 가자 지구를 통치하는 강경 하마스와 서안을 지배하는 PLO 중심의 온건 자치정부(PA)로 분열돼 있다.

오데 위원은 지난 19일(현지시간) PA의 임시수도 라말라 PLO본부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하마스의 민간인 공격은 반대한다면서도 분쟁 해결에 무관심한, 심지어 분쟁을 부추기는 이스라엘 우익에 더 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팔레스타인을 정치적 실체로 인정하지 않는 이스라엘 우익 정치인들이 문제 해결을 가로막는다는 게 오데 위원 주장의 요지다.

오데 위원은 최근 이ㆍ팔관계가 과거 대비 후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로를 정치적 실체로 인정한 ‘2국가 해법’에 기초한 1990년대의 협정들은 분쟁해결 가능성을 높였다”고 강조했다. 반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이끄는 리쿠드당 등 현 이스라엘 집권연정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데 주저하면서 화해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것이다. 그는 “중요한 것은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자치권과 자결권을 주는 것”이라며 “하지만 현재 팔레스타인 주민의 상태는 어느 병원에 가야 할지도, 슈퍼마켓에서 무슨 물건을 살 것인가도, 심지어 내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가는 것도 마음대로 결정 못하는 ‘이스라엘 1국가’ 체제”라고 비판했다. 1993년 오슬로 협정 이후 PA는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의 자치권을 얻었으나 온전한 자치권을 행사하는 지역은 3.5%에 불과하다.

오데 위원은 “이스라엘 우익 정치인뿐 아니라 현재 상황이 지속되기를 원한다는 점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도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후보 참모들이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대 정책을 지지해 이를 우려했는데, 결국 집권 후 예루살렘으로의 미국 대사관 이전, 유엔팔레스타인난민구호기구(UNRWA)에 대한 무력화 등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는 일련의 조치에 대해 “트럼프가 게임의 룰을 바꿨으며 이는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면서 “우리는 국제법에 따라 권리를 주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안지역의 이스라엘 점령을 부인하고 팔레스타인의 자치권을 인정한 유엔결의안 242호(1967년)가 그 근거다. 이에 따르면 새 미 대사관이 들어선 동예루살렘 지역이 포함된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통치도 불법이다. PA는 미국 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을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다.

지난해 2월 한국 정부 초청으로 서울을 찾았다는 그는 “어려운 상황에서 희망을 찾아내려는 한국인들의 태도에 감명받았다”면서 “팔레스타인은 외부로부터 엄청난 압박과 내부에서 갈등을 겪고 있지만, 대립 대신 대화를 택한 한국의 지혜를 참고하고 싶다”고 말을 맺었다.

라말라=글 사진 이왕구 기자 fab4@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