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금융 이모저모] KEB하나은행, 장학금·여행 상품권 걸고 수능 이벤트 外 신한·국민은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EB하나은행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를 격려하기 위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는 응모자에게는 추첨알 통해 100만원 상당의 장학금이나 50만원 상당의 여행상품권이 경품으로 제공된다. 신한은행은 글로벌파이낸스지로부터 외국환부문 글로벌 최우수 혁신 은행에 선정됐으며, 국민은행은 직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HRD 클라우드 시스템을 리뉴얼했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EB하나은행, '수고했어, 수험생!' 이벤트 실시

KEB하나은행은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수고했어, 수험생!' 이벤트를 오는 12월 14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이벤트는 하나의 시작, 하나의 힐링 및 하나의 소통이라는 3가지 테마에 맞춰 진행된다.

먼저 하나의 시작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신규 가입하는 수험생 또는 학부모 2만명에게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1만 하나머니를 선착순으로 제공하는 상품가입 이벤트다.

이에 더해 ▲Young하나 통장과 1Q Bank 앱 ▲Young하나 적금 ▲도전365적금 중 하나 이상을 신규가입 하는 수험생 및 학부모 243명을 추첨해 100만원 상당의 'Young하나 장학금', AI스피커, 모바일 상품권 등 다양한 경품을 제공한다.

하나의 힐링은 하나멤버스 앱 내 하나톡에 생성된 이벤트 페이지에 소원과 소망을 댓글로 남겨준 수험생과 학부모 191명을 추첨해 50만원 상당의 여행상품권, 1만 하나머니 등의 경품을 제공하는 댓글 추첨이벤트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소통 이벤트는 인기 1인 먹방 크리에이터 밴쯔의 토크콘서트 초청 이벤트다. 하나멤버스 앱을 통해 참가 신청한 수험생과 신청자 중 400명을 추첨해 콘서트 초청권을 제공한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 2019 외국환부문 글로벌 최우수 혁신은행 2년연속 수상

신한은행은 지난 13일 세계적 금융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 주관 외국환부문 글로벌 최우수 혁신 은행에 2년 연속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글로벌파이낸스는 발행 부수 기준 세계 1위인 금융전문지로 매년 외국환 관련 7개 분야의 최고 은행을 선정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7개 분야 중에서 아시아계 은행으로는 유일하게 외국환부문 글로벌 최우수 혁신 은행에 2년 연속 선정됐다.

신한은행 측은 지난 2월 디지털 컨퍼런스에서 위성호 은행장이 직접 소개하며 출범한 모바일 통합 플랫폼 신한 쏠(SOL) 기반 환전 및 송금서비스의 혁신성을 높게 평가받아 이번 수상을 하게 된 것으로 설명했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 NEW HRD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 나서

KB국민은행은 KB Digital Transformation 선포 이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디지털 대전환에 속도를 내기 위해 새로운 개념의 직원 학습 인프라인 HRD 클라우드 시스템을 리뉴얼 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작년 7월 선제적으로 도입한 KB국민은행만의 직원 학습 시스템으로, 자체 제작한 학습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시청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 직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이번 리뉴얼을 통해 Digital Transformation 콘텐츠를 전면에 내세워 디지털과 관련된 경영 전략을 반영했다. 디지털 시대에 맞는 업무 방식과 문화를 갖출 수 있도록 전사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직원들의 디지털 마인드 함양을 위한 초석을 다지기 위해 클라우드 콘텐츠를 강화했다. 또한, 기존 직무분야 학습 콘텐츠 외에 스타강사의 인문학 강의, 영어회화, 공인중개사 자격증, 뷰티, 요리 등 직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도 담았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쿠키뉴스 조계원 Chokw@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