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성폭력 가해자 끝까지 추적해야”…5월 단체 성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들이 5·18당시 여성에 대한 성폭력이 정부 조사를 통해 사실로 확인되자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경향신문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공수부대가 시민들을 옷을 벗긴 채 연행하고 있다.│5·18기념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기념재단과 5·18민주유공자유족회,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5·18구속부상자회는 30일 공동성명을 내고 “‘5·18 계엄군 등 성폭력 공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접하고 다시 한 번 그 끔찍한 반인륜적 범죄행위에 대해서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조사에 의하면 17건의 성폭행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만으로 상무대에서 조사관들에 의한 성추행 등 ‘성고문’이 이루어졌다”면서 “5·18 피해 여성들의 참혹한 실태가 백일하에 드러났다. 차재에 계엄군의 만행이 낱낱이 밝혀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철저한 진상규명도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 조사 과정에서 나온 가해자들의 이름과 인상착의, 계급, 부대 등을 철저히 추적하여 반인륜적 범죄행위는 그 진실이 반드시 밝혀진다는 것을 확인해주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이어 “자유한국당은 더 이상 자신의 책임을 방기하지 말고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조속히 출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조사위원회는 5·18 성폭력 사건을 조사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피해자로 확인된 여성들에 대해서는 매우 사려 깊은 치유와 회복의 과정이 지속적이며 심층적으로 진행되기를 바란다는 입장도 밝혔다.

한편 박지원 평화민주당 의원 등에 따르면 31일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5·18계엄군 등 성폭력 조사단은 12건의 신고를 접수받아 8건의 성폭행을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외에도 조사단은 5·18유공자 신청서와 구술 자료 등을 확인해 추가로 성폭력 피해자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