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팩트체크] 北, 국제 사회 인도적 지원 아예 없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 기구 구호 손길은 이어져, 비핵화 요구와 무관

이데일리

유니세프(UNISEF)에 따르면 지난 5월 17일 북한의 리철옥 의사가 유니세프 키트로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방문진료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설사에 걸린 아이를 치료하는 사진.(사진=유니세프 아시아태평양지역 사무소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장휘 기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핵확산금지조약(NPT)은 불평등한 조약이며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위해 제재 완화가 먼저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지난 16일(현지시각) 뉴욕 유엔 한국대표부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북한은 이미 비핵화를 선언했고 추가적인 핵실험도 안 하는데, 제재 완화도 안 해주고 인도적 지원도 안 하면서 어떻게 북한에 비핵화를 하라고 설득할 수 있나”라고 언급했다. 송 의원의 말대로라면 그동안 북한에 대한 국제단체들의 인도적 지원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말 북한은 그동안 인도적 지원을 받지 못했나? 송 의원의 주장을 팩트체크 해 봤다.

이데일리

국제적십자사(IRFC)가 지난 9월 발간한 북한 인플루엔자 A형 발간 자료(사진=국제적십자사 자료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기구 지원 이어지고 있어

대북 인도적 지원을 안 했다는 송 의원의 발언은 사실이 아니다. 국제적십자사(IFRC이하 적십자사)는 홈페이지에 북한의 인도적 지원에 대한 공식 자료를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2018년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9월 10일 적십자사는 북한에서 유행했던 인플루엔자 A형에 대해 올해 1월부터 6개월간 활동한 최종 보고서를 발표했다. 적십자사는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여러가지 기술적 지원을 펼쳤다. 먼저 700박스의 구호 물품(7만 개)을 북한 내 적십자사 봉사자들을 통해 북한 주민에게 전달했다.

국제적십자사 평양 지부는 또 북한 적십자사와 함께 인플루엔자 A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평안북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세 곳에 빠르게 구호 활동을 펼쳤다. 이 세 곳은 적십자사의 건강 프로그램이 계속 진행되는 곳인 사실도 덧붙였다. 이들은 6,000개의 비누를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기관에 전달했다. 자료의 상단에는 활동에 관여하는 기구로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니세프(UNICEF)도 언급돼 있다.

이번 태풍 19호 솔릭 피해 당시에도 적십자사는 북한이 큰 피해를 입었다는 공식 자료를 내고 태풍 피해 복구를 위해 예상되는 예산 총액, 복구 기간, 참여 기구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보고에 의하면 북한 정부가 공개한 홍수 피해 주민은 황해도 전체에서만 58만 명이며 구호물자를 포함해 피해 복구에 드는 비용만 38만 프랑(약 4억3000만 원·적십자사 기준 환율)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들은 지난 9월 트위터에 북한이 심각한 홍수 피해로 수십 명의 사람이 죽거나 실종됐고 현지에서 적십자사 구호팀이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다는 게시물도 올렸다.

이데일리

2017년 3월 유니세프(UNICEF)가 발간한 “DPR KOREA NEEDS AND PRIORITIES” 자료 (사진=유니세프 자료 캡쳐)


◇ 북한 상황 리포트 꾸준히 발간

UN 산하 국제구호단체인 유니세프의 아시아태평양지역 사무소는 북한에서 활동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물과 보고서, 인터뷰 등을 통해 북한 내부의 상황을 전달하고 있다.

지난 6월, 유니세프는 최빈개발도상국가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다중지표 클러스터조사(MICS)로 북한 내부 상황을 발표했다. 유니세프의 다중지표 클러스터조사는 각 국가의 상황을 살피고 아동들을 위한 백신 접종, 건강 관리,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자료다.

유니세프는 작년 3월 발간한 자료인 ‘DPR KOREA NEEDS AND PRIORITIES’에서 북한 약 2500만 명 중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180만 명이라고 전했다. 또 인도주의 활동과 자료 제작에 동참한 기구는 7개의 국제 민간단체(NGO)와 스위스개발협력청(SDC, Swiss Agency for Development and Cooperation)을 포함해 총 13개가 있다고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