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구로구 온수동 67 일대(5만9470㎡)와 도봉구 방학동 396의1 일대(2만5229㎡)의 지구단위계획안을 수정가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은 낡은 건물을 전면 철거하는 대신, 마을의 역사와 환경을 보존하면서 공공기반시설을 정비·신설하고, 개인이 기존 주택을 리모델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주민이 지역발전 방향을 구상하면 서울시와 전문가가 나서 이를 구체화해준다.
서울시는 현재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시범사업을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2곳, 재정비촉진지구 내 존치지역 3곳, 지역특성화지역 3곳, 다가구 밀집지역 2곳 등 총 10곳에서 추진 중이다. 다가구·다세대주택 밀집지역에 대한 시범사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내년 4월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기반시설과 주민 공동이용시설에 대한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시 진희선 주거재생정책관은 "다가구 밀집지역의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첫 사례인 만큼 시민들의 관심이 크다"면서 "주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blue73@fnnews.com 윤경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