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청년지원정책, 저소득 미취업자가 우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硏, 도내 청년 1000명 설문

경기도내 청년 10명 중 4명은 경기도의 각종 청년지원정책이 도움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포퓰리즘’과 ‘필요정책’ 논란이 이는 중앙과 지방정부의 청년지원정책과 관련해 우선 지원해야 할 대상으로 ‘저소득층 미취업자’를 꼽아 ‘청년 보편복지’ 개선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경기연구원이 지난 5월15∼25일 도내 10∼30대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한 ‘경기도 청년지원 시설에 관한 의식조사’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앙과 지방정부의 청년지원정책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이유로 응답자의 31.6%가 ‘정책설계 실패’를 꼽았고, 21.8%가 ‘산업구조 변화’, 17.0%가 ‘개인 의지 부족’이라고 밝혔다.

청년들은 국가나 지자체가 가장 우선해야 할 지원대상은 절반에 가까운 44.5%가 저소득층 미취업자라고 답했고, ‘모든 청년’이라는 응답은 27.9%에 불과했다. 다음으로 1년 이상 장기실업자(15.1%)를 꼽아 취업과 관련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했다.

이들은 가장 적합한 청년지원 방식으로는 37.4%가 직업훈련 교육, 29.2%는 금전지급, 17.0%가 상담 및 컨설팅이라고 답했다. 경기도 청년정책 인지와 관련해서는 ‘일하는 청년통장’ 62.0%, ‘경기도 청년 구직 지원금’ 34.2%, ‘일하는 청년시리즈’가 31.8% 순이었다.

‘경기도 청년정책을 하나도 모른다’는 응답자도 15.9%에 달했다. 응답자 중 ‘도 정책이 도움되지 않는다’는 비율도 44.2%나 됐다.

구직난에 시달리면서도 중소기업에 취업하지 않는 이유로는 낮은 급여가 가장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중소기업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 적은 급여(33.3%), 좋지 않은 복지 여건(29.1%), 불안정(12.5%), 주변의 시선(10.2%) 등을 들었다. 중소기업 취업 개선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근로소득 보전을 통한 임금 격차를 완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수원=김영석 기자 lovekoo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