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한국 기준금리 언제 올리나…18일 韓銀금통위에 쏠린 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외국인 자금 이탈 ◆

며칠 새 외국인 자금 유출이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이면서 오는 18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시장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한미 정책금리 격차는 0.75%포인트로 2007년 7월 이후 11년 만에 가장 크게 벌어진 상태다. 불확실한 상황이 전개되면서 전문가들 의견이 하나로 모아지지는 않았지만 이달 18일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예전보다 커졌다.

15일 매일경제가 국내 시장·학계 전문가 1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10명 중 3명이 이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달 혹은 11월을 예상한 사람은 2명, 다음달은 3명, 내년 이후는 2명이었다.

이달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전문가들은 최근 국제 금융시장 불안을 눈여겨봤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 물가가 서프라이즈 수준이었고, 고용지표도 단기적으로는 일부 개선된 상황에서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 확대에 대한 부담감이 커졌기 때문에 금통위가 10월에 0.25%포인트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직전 국제금융학회장을 지낸 채희율 경기대 경제학과 교수도 10월 인상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이달 초까지만 해도 고용·투자·소비·물가 측면에서 실물지표가 부진해 금리 인상 발목을 잡는 모양새였는데 생각하지 못한 변수들이 불거지는 상황"이라고 봤다. 채 교수는 "미국 정책금리 인상 강조 시그널로 국제 금융시장이 들썩인 2013년처럼 올해도 테이퍼 탠트럼(긴축 발작)이 일어날지는 미지수지만 미국이 12월에 이어 내년에도 세 차례 이상 정책금리를 올리면 한은이 금리 역전 폭 확대를 가만히 두고 보기에는 부담이 클 것 같다"고 말했다.

윤덕룡 국제금융학회장도 "우리나라는 금융위기설이 도는 터키나 아르헨티나 같은 신흥국과 다르게 경상수지 흑자나 외환보유액을 비롯한 펀더멘털이 갖춰졌다는 점에서 급격한 외국인 자금 유출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외국인 자금이 정책금리만 따라 움직이는 게 아니지만 역전 폭이 확대되는 상황을 그대로 두는 것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근 이주열 한은 총재가 '금융 안정 필요성'을 언급하며 매파적 발언을 내놓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11월 이후로 보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치권의 금리 인상 압력과 외국인 증시 자금 이탈 흐름, 가계부채 증가세 등 측면에서 인상할 만한 요인이 있지만 한은이 성장률 전망을 낮추면서 금리 인상을 하기는 부담스러워 11월이 더 가능성 있다"고 봤다. 그는 "투자 부진·고용 위축 때문에 내수 소비를 중심으로 한 경기 회복세가 약하고, 미·중 무역갈등이나 신흥국 금융 불안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도 있다"면서 "최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 후반까지 상승했지만 수요가 늘어난 결과라기보다는 채소·유가 등 공급 측면 충격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한편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해 "금리 인상은 경기가 좋아진다는 보다 확실한 신호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10월이냐 11월이냐는 단기를 넘어 경기 회복 신호가 감지되는 좀 더 장기적일 때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최근 외국인 증시 자금 유출은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 확대라기보다는) 국제 주식시장 변화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인오 기자 / 문재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