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SWC 올해도 성황리에 마무리, 우승은 한국 ‘빛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관람객 1300명 이상, 인터넷 플랫폼 동시 시청자 10만 돌파

[이코노믹리뷰=전현수 기자] 지난 13일 개최된 글로벌 e스포츠 축제 ‘서머너즈 워 월드 아레나 챔피언십 2018’(SWC 2018) 월드결선 우승은 한국 플레이어 ‘빛대’가 차지했다.

이코노믹리뷰

SWC 2018 우승자 빛대가 트로피를 들어올리고 있다. 출처=컴투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게임 기업 컴투스(대표 송병준)는 ‘SWC 2018’ 대망의 결승전인 월드결선을 서울 상암동 OGN e스타디움에서 열고, 글로벌 히트작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이하 서머너즈 워)’ 세계 팬들이 함께 즐기는 글로벌 e스포츠 축제를 펼쳤다.

지난 7월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약 3개월 간 이어온 ‘SWC 2018’은, 아메리카컵∙아시아퍼시픽컵∙유럽컵 등 총 3개 대륙컵으로 나눠 열렸다. 이번 ‘SWC 2018’ 월드결선은 각 대륙컵을 통해 선발된 총 8인의 지역 대표 선수들이 우승의 명예를 두고 벌이는 최종 무대인 만큼, 경기장 안팎에서 ‘서머너즈 워’ 세계 팬들의 뜨거운 관심이 쏟아졌다.

이날 현장에는 이른 아침부터 관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지며, 수 많은 인파로 인산인해를 이뤘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세계대회인 만큼, 이번 대회 관람을 위해 다양한 지역의 해외 관객들과 인플루언서들이 한국을 찾았다. 이를 포함 1300여명이 넘는 국내외 ‘서머너즈 워’의 팬들이 경기장에 몰렸으며, 대회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메인 경기장과 보조 관람관 객석을 가득 메웠다.

온라인에서도 관람하는 시청자 수도 준수했다. 컴투스는 전 경기를 ‘서머너즈 워’ 공식 유튜브 채널과 트위치 등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 라이브 송출했다. 경기는 한국어와 영어를 비롯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총 13개 언어로 전세계에 생중계됐으며, 이날 온라인 중계 동시 접속자수는 10만명을 넘겼다.

이코노믹리뷰

SWC 2018 월드결선 경기장 전경. 출처=컴투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코노믹리뷰

SWC 2018 월드결선 이벤트가 열리는 1층 로비 모습. 출처=컴투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컴투스는 월드결선 현장을 찾은 관객들이 경기 관람과 더불어, ‘서머너즈 워’를 통해 다양한 즐거움을 주기 위해 다채로운 이벤트 행사를 열었다. 1층 로비에서는 몬스터 소환, 사진 촬영이 가능한 AR 포토존이 운영됐으며, 선수 추첨, 속성주사위대결, QR이벤트 등 참여만으로 다양한 굿즈 선물이 제공되는 이벤트가 펼쳐졌다. 또한 곳곳에 위치한 코스튬 플레이어들이 관객과 포토 타임을 가졌으며, ‘서머너즈 워’ 캐릭터의 몬스터 소환 장면을 형상화한 대형 디오라마를 공개해 눈길을 모았다.

총 8강 싱글 토너먼트로 진행된 ‘SWC 2018’ 월드결선은 약 6시간 이어졌다. 각 지역의 자존심을 두고 겨룬 승부 끝에, 결승전에서 한국의 빛대(Beat. D)가 강력한 우승 후보로 거론된 홍콩 라마(L.A.M.A)를 상대로 세 판 연속 승리를 가져가며 세계 최강자 자리에 등극,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빛대는 이번 우승으로 3만 달러(한화 약 3250만원)의 상금도 거머쥐었다.

본 경기에 앞서 열린 한국과 미국 간의 길드 대항전에서는 미국 ‘세이 스웨그 어게인’ 길드가 한국 ‘바코드’ 길드를 3:0으로 압승했다. 단체전에 대한 재미도 어느정도 증명한 경기였다.

컴투스 관계자는 “올해 두 번째로 열린 ‘서머너즈 워’ e스포츠 축제로 대회를 넘어 선수와 관객이 함께 즐기는 새로운 게임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보는 재미뿐만 아니라, 현장의 즐거움도 한층 끌어올려 ‘서머너즈 워’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겠다”라고 전했다.

‘SWC 2018’ 월드결선과 전 경기는 ‘서머너즈 워’ e스포츠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현수 기자

-Copyright ⓒ 이코노믹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