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MK현장] `폴란드로 간 아이들` 감독 추상미, 상처를 치유하는 여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타투데이

사진|강영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양소영 기자]

배우 추상미가 감독으로 돌아왔다. 상처의 치유와 회복의 여정을 다룬 ‘폴란드로 간 아이들’로 올가을 스크린을 두드린다.

15일 오후 서울 용산구 CGV에서 영화 ‘폴란드로 간 아이들’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감독 및 배우 추상미가 참석했다.

‘폴란드로 간 아이들’은 1951년 폴란드로 보내진 1500명의 한국전쟁 고아와 폴란드 선생님들의 비밀 실화로 그 위대한 사랑을 찾아 남과 북 두 여자가 함께 떠나는 치유와 회복의 여정을그린다.

단편 영화 ‘분장실’ ‘영향 아래의 여자’를 연출하며 감독으로서 역량을 인정받은 배우 겸 감독 추상미가 연출을 맡고 직접 출연했다.

오랫동안 영화 연출을 꿈꿔왔다는 추상미는 “지인이 일하는 출판사에 갔다가 (이 실화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 소재를 극 영화로 만들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영화 이전에 사전 다큐멘터리를 세작하게 됐다. 그는 “폴란드를 가게 됐고 생존 교사들의 증언을 들으려고 했다. 교사분들의 연세가 80대 후반 90대가 넘어갔다. 국내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기록으로 남기는 게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었다”며 사전 다큐멘터리를 만든 이유를 밝혔다.

이어 “‘그루터기’ 극 영화를 준비하고 그 여정 자체를 노출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극 영화는 아이들이 주인공이 될 확률이 높다. 폴란드 선생님들이 전쟁의 상처가 매개 돼서 전쟁고아를 품은 걸 풀어낸다. 지금은 선생님에게 집중되어 있지만 극 영화는 아이들에게 더 집중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또한 추상미는 ‘폴란드로 간 아이들’을 연출하면서 산후우울증을 극복했다고. 그는 “아이에게 과도한 집착을 했는데 그 시선이 다른 아이들로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극복했다. 감사한 여정이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모성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할 수 있는지, 세상으로도 모성애가 발휘될 때 얼마나 좋은 일이 벌어질 수 있는지 보여준 것 같다. 폴란드 선생님들도 그런 모성애와 부성애를 발휘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추상미는 ‘상처’를 주요하게 다루는 이유에 대해 언급했다. 추상미 오빠 추상록은 위안부 문제를 다룬 영화 ‘소리굽쇠’를 연출한 감독. 추상미의 아버지 추송웅은 유명한 연극배우. 추상미의 아버지는 1970년대 프란츠 카프카의 원작으로 한 연극 ‘빨간 피터의 고백’을 연출했다. 이 연극은 자유에 대해 이야기를 한 작품, 추상미는 아버지의 연극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꼈다고.

추상미는 “아버지로부터 좋은 예술 작품 하나가 분노를 멈추게 하고 성찰하게 한다고 들었다”며 “그러다보니 사회의 상처와 문제를 보게 되는 것 같다. 저는 상처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상처로 좋은 것들이 나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상처를 새롭게 조명하고 싶었다. 자신들의 상처를 다른 민족의 아이를 품은 폴란드 선생님처럼 우리들의 상처가 어떻게 고민되고 성찰되었는지를 본다. 증오하고 프레임을 만들고 그렇게 사용된 것은 분명한데 조금 선하게 다른 관점으로 보여질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다”고 고백했다.

‘폴란드로 간 아이들’은 31일 개봉한다.

skyb1842@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