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겨울철 안전운전 요령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생애 첫 차를 마련한 30대 직장인 김지훈씨는 지난해 겨울 눈길에서 급제동을 했다가 큰 사고를 냈다. 타이어의 주 원료인 고무의 특성상 기온이 낮아지면 딱딱해져 제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타이어는 겨울철 시시각각 달라지는 기후변화로 인해 불안정한 노면 상태에 대비하기 위한 ‘겨울철 안전 운전법’을 15일 공개했다.

한파가 점점 길어지는 한국에서는 안전 운전을 위한 겨울용 타이어가 필수다. 빙판길과 눈길에서 노면과 마찰할 때 고무의 반발력을 낮추고 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유연성을 갖춘 고무가 사용되서다. 기온이 낮을 때에는 공기가 수축돼 공기압이 자연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타이어 공기압 점검도 중요하다.

눈길이나 빙판길은 일반 노면보다 4~8배 더 미끄럽기 때문에 급가속이나 급제동은 금물이다. 출발과 주행 중 가속·감속 역시 천천히 해야 한다. 바퀴자국이 있는 눈길에서는 핸들을 놓치지 않도록 꽉 쥐어야 하고 언덕길에서는 미리 저속으로 기어를 바꾸는 것이 좋다.

가을 동안 장거리 운행이 잦았다면 엔진오일 및 미션오일 등이 새거나 줄어들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보통 엔진오일의 경우 1만㎞ 주행 또는 교환 후 6개월이 지났다면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미션오일은 10㎞ 주행 시 교환해야 한다. 낮은 기온으로 엔진 등 기기 내부에 있는 수분이 얼지 않도록 부동액도 점검해야 한다.

기온이 내려가면 배터리 전압이 낮아져 시동이 잘 걸리지 않기 때문에 가까운 카센터에 방문해 배터리 전압을 체크하고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새 배터리로 교체한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