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중장년 재취업시 10명 중 4명은 임금 50% 이상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BS노컷뉴스 김선경 기자

노컷뉴스

자료=전경련 중기협력센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재취업 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10명 중 4명은 이전 직장과 비교해 임금이 절반이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는 40세 이상 중장년 5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의 54.8%는 주된 직장 퇴직 후 재취업 경험이 있었고, 이들의 재취업 후 임금 수준은 주된 직장대비 '50% 미만'이 38.4%로 가장 많았고, 50~60%' 19.4%, '60~70%' 15.5% 순이었다. 이전 주된 직장보다 임금을 많이 받는다는 답변은 1.8%에 불과했다.

중장년이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이유는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라는 응답이 56.6%로 가장 많았으며 정년퇴직(21.4%), 사업부진 또는 휴·폐업(13.3%) 등이 뒤를 이었다.

재취업한 회사에서의 근속 기간은 1년 미만(45.4%), 1년 이상~2년 미만(29.2%), 2년 이상(25.4%)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재취업한 5명 중 1명은 6개월 이내에 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한 회사에서의 퇴사 이유로는 계약 기간 종료(27.5%)를 가장 많이 꼽았고 사업장 경영악화(21.5%), 고용불안·기업성장 가능성 불투명(12.3%) 등도 언급됐다.

중장년이 퇴직 후 경력에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가 어렵고 양질의 일자리가 거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재취업 구직 때 어려움으로는 중장년 채용수요가 부족한 것(50.0%)과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풍토(34.0%)를 주로 들었다.

재취업 활성화 과제로는 중장년에게 맞는 다양한 일자리 개발(34.1%), 중장년 일자리기관 확충(15.8%), 장년 친화적 고용문화 확산(15.3%), 다양한 직업교육 운영(13.2%)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