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경찰, '저유소 화재' 의혹 밝힐 전문가 자문단 구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영상 기자] [화재·가스·건축 등 각 분야 전문가 7명…"화재 원인·확산 경위 파악에 주력"]

머니투데이

11일 오후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대한송유관공사 고양저유소 화재 현장 인근 강매터널 공사장에서 국과수 관계자들이 제2차 합동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고양시 저유소 화재 사건을 부실 수사했다는 비판을 받는 경찰이 화재 원인과 확산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고 수사 속도를 높인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은 "저유소 화재 사건의 의혹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화재·가스·건축 등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자문단을 편성했다"고 12일 밝혔다. 경찰은 자문단과 함께 현장조사·회의를 진행하면서 화재 원인과 확산 경위 등을 규명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이달 10일부터는 수사 주체를 경기 고양경찰서에서 경기북부지방경찰청으로 격상하고 전담 수사팀 인력을 22명으로 확대했다.

화재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해봐야 한다는 지적은 경찰이 인근 공사장 인부 스리랑카인 A씨(27)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가 검찰에 연이어 기각되면서부터 나왔다.

경찰은 A씨가 날린 풍등(열기구)이 저유소 잔디밭에 떨어져 유류 탱크 화재로 이어졌다고 보고 이달 8일 A씨를 긴급체포했다. 이어 9일 A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에 신청했지만 같은 날 검찰은 인과관계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다며 이를 반려했다. 경찰은 전문가 의견 등을 첨부해 10일 오전 영장을 재신청했지만 검찰이 이를 또 다시 기각했다.

여론 역시 외국인 노동자의 실수보다는 관리시스템 부실이나 안전설비 미비 같은 구조적 문제에 쏠리고 있다. 비록 풍등 탓에 잔디밭에 불이 붙었다고 하더라도 대한송유관공사 측이 조기에 진화했다면 화재로 이어지지 않았고 이 같은 관리 부실 책임이 더 직접적인 원인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찰은 풍등이 잔디밭에 떨어져 최초로 연기가 발생해 탱크 화재로 이어지기까지 18분간 대한송유관공사 측의 화재 대응이 없었던 점을 고려해 관리부실 등에 대한 수사도 진행한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 직원을 참고인으로 조사했으나 앞으로 관계자 소환 계획이 잡힌 것은 없다"고 말했다.

김영상 기자 vide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