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2018국감]지난해 농식품인증제 신뢰도 최저… 살충제 계란 파동 여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뢰한다’ 응답 54.5% 그쳐…김종회 “철저한 사후관리 뒷받침해야”

이데일리

최근 5년 농식품 국가인증제 신뢰도 조사. 김종회 의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각종 농식품 인증제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가 큰 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강화로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종회 의원(민평당·농해수위)은 국정감사를 앞두고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최근 5년 농식품 인증제 소비자 인지도 조사 보고서를 받아 본 결과 인증제를 신뢰한다는 소비자 비율이 지난해 54.5%으로 2013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농식품 인증제가 2012년 개편한 만큼 사실상 역대 최저다.

정부는 현재 유기가공 식품, 친환경농산물, 전통식품 품질, 식품명인, 지리적표시, 농산물우수관리(GAP),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해썹), 가공식품 KS 등 인증제를 운영해 오고 있다.

농식품 인증 소비자 신뢰도는 2013년 66.4%, 2014년 70.1%, 2015년 68.3%, 2016년 71.5%로 70% 전후를 유지해 왔으나 지난해 처음으로 50%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매우 신뢰한다는 응답은 3.3%로 한 자릿수가 됐다. 약간 신뢰한다는 응답도 38.4%로 줄었다. 반대로 보통(33.0%),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23.5%),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1.8%)는 큰 폭 증가했다.

지난해 이른바 ‘살충제 계란’이 HACCP 인증을 받은 농가에서도 발견되면서 전체 국가 인증에 대한 신뢰도가 대폭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응답자는 인증제를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 △관리 부실(31.3%) △믿음이 안 가서(24.1%) △살충제 계란 파동(9.9%) △언론의 부정적 보도(6.0%) △인증 제품의 유해 성분 검출(5.7%) △인증마크 남발(4.8%) 등을 꼽았다.

국가 인증제 대한 소비자 신뢰도가 떨어지다보니 소비에 미치는 영향도 낮아졌다. 농식품을 살 때 인증제를 고려한다는 응답은 2015년 80.8%까지 올랐으나 지난해는 63.2%에 그쳤다. 특히 HACCP에 대한 구매의향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김종회 의원은 “지난해 살충제 계란 파동은 농식품 인증제 관리 부실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라며 “주기적인 현장 검사 등 철저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10일 오전 10시부터 국회에서 농식품부에 대한 국감을 진행한다.

이데일리

지난해 농식품 국가인증제 신뢰도 조사 결과. 김종회 의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