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전당포 추석 '급전특수'는 옛말…온라인·SNS 소액대출에 밀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종로 일대 전당포, 추석 앞두고도 '울상'

소액 급전, '스마트폰 내구제' 등으로 대체

“명절 급전특수는 옛말이지. 이젠 추석에도 파리만 날려.”

서울 종로에서 30년 넘게 전당포를 운영해 온 A씨는 20일 기자와 만나 이렇게 말했다. A씨는 “한창때는 1년에 장부를 2권씩 썼는데 요즘은 7~8년에 1권을 쓸까 말까”라며 “그래도 명절을 앞두고는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이 좀 찾아왔었는데, 2년 전부터는 그마저도 없어졌다”고 한숨을 쉬었다.

수년 전만 해도 금은방과 전당포가 밀집한 종로 일대는 명절이면 차례비용 및 명절선물 등을 위한 소액 급전을 구하는 사람들로 붐볐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명 ‘스마트폰 깡’으로 불리는 내구제 대출이 그 자리를 대체, 반짝 특수마저 사라지면서 더욱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실제 올해 초 종로의 대표적인 G전당포가 폐업하는 등 종로 일대 전당포는 하나둘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중앙일보

20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전당포의 모습. 김다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로에서 대형 전당포를 운영하는 B씨는 명절 급전특수가 사라진 이유에 대해 “전당포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저소득·저신용자들인데 불경기가 지속하면서 이제는 맡길 물건조차 없어지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전당포는 그래도 담보로 맡길 고가의 물건이 필요한데,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액 대출은 더 쉽고 담보도 필요 없으니 누가 전당포까지 오겠냐"며 눈을 흘겼다.

실제 추석을 일주일 앞둔 지난 16일부터 소액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내구제 거래 광고가 무더기로 올라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명절이 되면 100만~200만원 소액이 필요한 사람들 문의가 늘어나는 것은 일반적 추세”라며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도 스마트폰 내구제를 통해 전당포나 대부업체보다 훨씬 쉽게 돈을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추석을 앞두고 올라온 스마트폰 내구제 광고글 [인터넷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구제 대출이란 본래 ‘내구소비재 구매자금 대출’의 줄임말로 3년 이상 오래 사용하는 '내구제'를 할부형태로 제공하는 거래형태 및 금융상품을 일컬었다. 그러나 최근 렌탈기기, 스마트폰 등을 대상으로 비슷한 형태의 대출이 성행하면서 ‘나를 구제하는 대출’이라는 의미로 변형돼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전화 단말기를 할부로 구입·개통해 유심칩을 뺀 뒤 기기를 중고로 되파는 형태로 거래가 진행된다. 목돈을 만들기 위해 한 사람 앞으로 여러 개의 폰을 개통하는 등의 편법이 기승을 부리는 상황이다.

이처럼 스마트폰 내구제가 불법거래나 사기로 이어지는 경우 많아 규제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한영섭 청년빚문제해결을위한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추석 등 명절이 되면 재취업생이나 실직자를 대상으로 한 내구제 거래가 평소보다 많이 발생하는 편"이라며 "이런 편법 및 불법 거래로 사기를 당하거나 빚더미에 올라앉는 경우가 적지 않아 금융감독원의 보다 적극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다영 기자 kim.dayoung1@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