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7 (월)

[WT논평]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lessness and the poverty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y Richard E. Vatz (professor at Towson University)

The causal relationship is profound between fatherlessness, single-parent families and the resultant murders, shootings, violence, poverty, lack of upper-mobility, school miseries for teachers and students, flourishing of vicious and brazen gangs (replacing fathers), lost job opportunities, illicit drug use and sales, and general quality of life.

The statistics connecting all of these more or less measurable outcomes are well-established, reproduced and replicated. Just look at one summary statement from just one major study (Marriage and Family Review, 2003) titled “The Presence of Fathers in Attenuating Young Male Violence”: “Data analyzed across the U.S. indicate that father absence, rather than poverty, was a strong predictor of young men’s violent behavior.”

When this nexus of social maladies and fatherlessness is publicly articulated orally or in writing, there is usually either no response (most frequent), an ad hominem response, or a false, irrelevant response (One such response: This is a “horrible statement and a condemnation of the black single parent household.”) There is nothing racially inherent in the locating of this social disaster of fatherlessness. Both white families and black families have about tripled the number of homes with kids without fathers since the 1960s.

None of the foregoing is to argue that the social pathologies caused by fatherlessness are not exacerbated by other factors. Bad police conduct, inadequate schooling weaknesses, and judges undermining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ith weak sentencing all make the problems worse. But there is no root cause more consequential in producing permanent violence, poverty and related life dissatisfaction issues than fatherlessness.

If there is ever a sustained full-frontal assault on fatherless, results will be manifest in less than a decade.

아버지의 부재와 가난 사이의 관계

리처드 E 배츠(토슨 대학교 교수)


아버지의 부재와 편부모 가족 및 결과적인 살인, 총격, 폭력, 가난, 상향 이동 결핍, 교사 및 학생의 학교생활 애로, 악랄하고도 대담하며 아버지를 대신하는 갱단, 취업 기회의 상실, 불법 마약 사용과 판매, 전반적인 삶의 질 사이에는 깊은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어느 정도 측정이 가능한 이런 모든 결과를 연결시키는 각종 통계는 확고부동하며 재생산되고 반복된다. “젊은 남성의 폭력을 감소시키는 아버지의 존재”라는 제목의 단 한 가지 중요한 연구(결혼과 가족 리뷰, 2003년)의 요약 문구를 보자. “미국 전역에서 분석된 자료는 가난보다는 아버지의 부재가 젊은 남성들의 폭력적 행동의 강력한 예측변수라는 것을 보여준다.”

각종 사회적 병폐와 아버지 부재의 이런 결합이 구두 혹은 글로 표현될 때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무반응이나 인신공격성 반응 혹은 논점을 벗어난 거짓 반응(그런 반응의 한 가지. 이것은 “흑인 편부모 가정을 비난하는 고약한 발언”이다)이 나오기 일쑤다.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이런 사회적 재난을 정확히 지적하는 데는 본질적으로 인종적인 동기가 없다. 백인 가정과 흑인 가정 모두 1960년대 이후 아버지 없는 아이들의 가정 수가 대략 3배 증가했다.

앞서의 발언은 어느 것도,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각종 사회적 병폐가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악화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경찰의 나쁜 행동, 불충분한 학교 교육의 약점, 약한 판결로 형사사법체제를 약화시키는 판사들이 모두 문제를 악화시킨다. 그러나 만성적인 폭력과 가난 및 관련된 삶의 만족 문제를 초래하는 데는 아버지의 부재보다 결과적으로 더 큰 원인은 없다.

만약 아버지 부재 현상에 대해 지속적인 전면공격을 가할 경우 각종 결과가 10년 미만에 나타날 것이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