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수출 절반 지탱하던 빅3마저 적신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美·베트남>
베트남수출 넉달째 역성장 반도체 등 ICT 12%나 줄어
美도 올 2.4% 증가에 그쳐 보호무역에 가전·철강 고전
對中수출은 22% 늘었지만 무역전쟁 지속땐 타격 우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 수출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빅3' 국가인 대(對)중국·미국·베트남 수출이 올 들어 주춤하고 있다. 특히 '포스트 차이나'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왔던 베트남 수출은 올 들어 지난 3월에서 6월까지 4개월 연속 역성장을 기록했다. 성장을 이어가고는 있지만 미·중 무역분쟁 변수가 존재하는 중국, 미국 수출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주춤한 베트남 수출

1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베트남 수출은 지난 1~7월 총 274억7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총수출로 보면 소폭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베트남 수출을 월별로 보면 전년 동월 대비 지난 3월 -3.1%를 시작으로 4월 -17.5%, 5월 -8.9%, 6월 -8.7%까지 4개월 연속 역성장했다.

지난해 연간 기준 베트남은 중국(24.8%), 미국(12.0%)에 이어 세 번째로 우리나라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나라다. 또 지난해 우리나라의 베트남 수출액(477억달러)이 사상 최고치를 찍었으며 수출 증가율도 46%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베트남이 중국을 대신해 우리 기업의 생산기지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고 '포스트 차이나'로 불리기까지 했다.

가파르게 증가하던 대베트남 수출이 올 들어 부진에 빠진 원인은 품목으로 보면 우리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수출부진이다. 지난 6월을 기준으로 대베트남 ICT 수출은 18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11.9% 감소했다. 베트남에서 제조하는 우리 기업의 휴대폰 등 ICT제품 수출이 감소하다보니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등 핵심부품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베트남 현지에 우리 기업들이 지난해 생산 및 부품 공장을 신설하거나 증설한 건이 많아지면서 관련 설비투자나 부품 수출이 크게 늘어났다"며 "올 들어서는 기저효과에 의해서 수출이 위축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려되는 점은 대베트남 수출부진이 기조적으로 자리 잡을지 여부다. 최근 우리 기업들이 그동안 국내에서 수입하던 ICT 관련 부품을 베트남 현지에서 생산하기 위해 생산시설을 구축한 것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과거처럼 베트남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기는 어려운 여건이 된 것이다.

■무역분쟁, 대중·미 수출 걱정

대베트남과 함께 우리 수출의 전통적 '빅2'인 중국, 미국 수출도 안심할 수 없다.

우선 미국 수출은 올 1~7월 406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396억600만달러와 비교하면 2.4%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전이나 철강 등을 중심으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번지면서 수출을 위축시킨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관련 이슈에 영향을 받은 지난 2월부터 4월 3개월 연속 대미 수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다. 반대로 대중국의 경우 올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올 1~7월 총 대중국 수출은 929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9%나 증가했다.

문제는 앞으로 이 같은 성장세를 유지할지 여부가 우려된다는 점이다.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대중국·미국 수출이 모두 타격을 받을 수 있어서다.

김형주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오는 11월 미국에서 중간선거가 있고 후년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이 달린 대통령선거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무역분쟁 등으로 미국이 중국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중국도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한 지도자를 표방하고 있는 만큼 명분이 없다면 버틸 수밖에 없다"며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되면 우리의 중간재 수출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되고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세계 경제가 둔화되면 우리 경제도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현재 정부 차원에서 인도와 동남아시아 등으로 기업들이 수출 다변화를 할 수 있게 지원하고는 있지만 규모가 작아서 중국·미국·베트남 시장을 대체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