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특정단체만 허용...울산시의 이상한 낚시금지구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태화강 선바위교~ 학성교 구간 올해로 13년 째 낚시금지
수달 서식지인 상류쪽은 오히려 낚시허용..탁상행정 지적
태화강 주변 지역 주민들 친수공간까지 사라져 불만
선바위교 아래 취사, 야영까지 금지 폭염 피서객들 분통
낚시금지구역 변경지정, 친환경낚시터 운영 등 개선요구


파이낸셜뉴스

1991년 울산시 태확강에서 낚시를 즐기를 울산시민들 모습. 울산시를 가로지르는 태화강에서 낚시가 금지된 것은 올해로 13년째다. 특정단체만 낚시대회가 허용될 뿐 일반시민들은 경주, 영천 등 타지로 낚시를 떠나야 하는 지경이다보니 시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생태보존을 위한 목적이라면 현재 낚시와 야영, 취사 등이 금지된 중하류보다는 멸종위기종인 수달 등이 서식하는 중상류지역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선바위교를 기점으로 하류에 친환경적인 관리형 낚시터를 운영해 시민 친수공간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진=울산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시가 지정한 태화강 낚시금지구역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수달 서식지 등 생태계보호가 필요한 구역은 낚시행위가 허용되는 반면 시민 친수공간이 필요한 곳은 오히려 금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울산시에 따르면 낚시금지구역은 태화강 중·하류인 선바위교~신삼호교~학성교 구간으로, 울주군 범서읍에서 남구 삼산동까지 약 15km에 이르는 태화강 중하류 지역이다. 하천법 제46조를 근거로 2019년 8월 20일까지 낚시행위는 물론 야영과 취사를 모두 금지하고 있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낚시금지는 연장을 거듭하며 올해로 13년째 이어지고 있다.

낚시동호인들은 기간이 연장될 때마다 금지구역 해제를 요구하면서 논란을 부추겼지만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런데 최근 낚시가 등산을 앞질러 국민취미 1위로 등극한데 이어 멸종위기종인 수달의 주요 서식지인 태화강 중류에까지 낚시꾼에 점령당하자 낚시금지구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시민 친수활동까지 가로막아
낚시가 금지된 구역은 깨끗한 모래톱이나 큰 바위가 없어 수달이 서식하기에는 울산시조차 부적합한 곳으로 평가하는 등 생태보존지역으로서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구간이다.

하지만 낚시금지구역 지정으로 인해 울주군 범서읍, 남구 무거동, 삼호동, 중구 다운동 등 인구 21만여 명의 주변 지역 주민들은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친수공간도 함께 잃었다.

올 여름 유래 없는 폭염에도 불구하고 범서지역 대표적 피서지인 선바위교 아래서는 주민들의 야영과 취식이 금지되면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주민 김모씨(42)는 “수달 등 야생동물보호와 태화강의 하천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류보다는 중상류에서 이뤄지는 낚시와 각종 오염행위를 금지해야 하는 데 거꾸로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서 주민들의 친수활동만 가로막는 꼴”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폭염이 계속되면서 지금도 수달 서식지와 가까운 사연교 아래는 고기를 굽고 술판을 벌이는 야영이 매일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 특정단체만 낚시대회 허용
낚시동호인과 낚시업계도 불만도 이어지고 있다. 배스낚시 동호인 카페운영자는 “일반시민이 생태계 교란종인 배스를 잡는 것은 금지하는 울산시가 수백명이 모이는 특정단체들의 전국 규모 배스낚시대회를 허용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낚시업계에서도 태화강의 낚시금지로 울산지역 상당수의 민물낚시꾼이 경주, 영천, 창녕 등 타 지역으로 출조에 나서 최소 3~5만원 이상의 불필요한 경비를 지출하고 있다며 지역 낚시인과 업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낚시금지구역을 수달이 서식하는 언양읍 반천리 일대로 재지정하고 기존 낚시금지구역은 친수공간 확보와 낚시인구를 위해 해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울산생명의숲 윤석 사무국장은 지역언론 칼럼을 통해 "낚시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태화강의 맑은 물에 몸을 담그고 싶은 사람들의 요구를 수용해줘야 한다"며 친환경적이면서 관광상품으로 확대할 수 있는 '예약유료낚시'를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울산시 담당부서 관계자는 “낚시금지구역 해제를 요구하는 민원이 있지만 반대로 낚시금지 유지를 원하고 불법낚시꾼을 신고하는 시민들도 여전하다”며 변경과 지정 해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