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6 (목)

김진경 "대입개편 결과, 시민참여단 의견 수용 부족한 점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대입특위 위원장

2022학년 대입제도 최종 권고안 발표

"정시 확대 요구는 교육부에서 풀어야"

서울경제


국가교육회의가 특정 비율을 제시하지 않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전형을 확대하라고 교육부에 권고하면서 공론조사 결과가 사실상 무력화됐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 개편 특별위원장은 사견임을 전제로 “전문가들이 시민참여단의 의견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한 점이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 위원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시민참여단 조사에서 1안이 지지를 받았으면 국가교육회의에서 범위로라도 수능 위주 전형 비율을 제시해줬어야 한다.

▲ 자료가 충분하지 못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전문가들이 시민참여단의 의견을 충분히 수용하는 데서 약간 부족한 점도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은 인정할 수 있다.

- 공론화위가 시민들이 생각한 적정한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39.6%라고 했는데 국가교육회의에서도 인정하나.

▲ 그렇다. 평균값이기 때문에 최저선으로 간다면 조금 낮아질거다. 한 30%나 전후 정도로.

- 결론이 개편 시나리오 3안이나 4안과 비슷하다.

▲ 3안은 사실상 대학 자율을 얘기하고 있지, 수능 확대라는 말을 쓰고 있지 않다. 우리 권고안은 명확하게 공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수능을 확대하자는 입장이다. 4안의 핵심은 학생부교과와 학생부종합 비율의 균형이다. 이른바 상위권 대학이 학생부교과를 싫어하기 때문에 이 비중을 맞추기 위해 자연히 수능이 늘어날 거라는 게 4안의 핵심 내용이므로 우리 결정과 다르다.

- 이런 결론이라면 굳이 공론조사를 할 필요가 있느냐는 비판도 나온다.

▲ 우리나라가 굉장히 독특한 교육시스템을 갖고 있어 교육계가 일반 시민과 전면적으로 만나 논의할 기회가 상당히 적다. 그런 것들이 교육개혁에 상당한 한계로 작용한다. 4개월에 걸쳐서 교육전문가들이 시민과 전면적으로 만나고, 논의하고, 갈등하고, 풀어낸 경험 자체가 굉장히 소중한 자산이다. 그런 자산을 바탕으로 교육 거버넌스가 새로운 차원으로 나갈 수 있으므로 그 과정이 헛됐다고는 보지 않는다.

- 정시(수능전형) 확대 요구 실효성 있나.

▲ (입시는) 고등교육법상 대학 자율로 명시돼 있다. 그 속에서 어떤 실효적인 방법을 찾을지는 국가교육회의 차원에서 답하기가 참 어렵다. 그 부분은 집행부서인 교육부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 교육전문가들이 이제라도 다시 모여서 제대로 된 입시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성명서를 냈다.

▲ 전문가와 시민사회 의견이 괴리됐을 때는 시민사회가 합리적인 방법으로 의견을 정해서 요구할 수 있다. 그래서 시민참여단 의견은 수용해야 된다는 입장이다. 그렇게 한 번 받아들였을 때 교육개혁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걸음마 할 수 있다.

- 수능 절대평가 등 문재인 대통령의 교육공약을 사실상 지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 절대평가나 학점제 이런 문제와 관련해서는 제가 책임 있게 답변할 입장이 아니다. 대선 과정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공약이 만들어졌는데 시행하려고 보니 시민사회 의견이 전문가들과 너무 달랐다. 그랬을 때는 정부 차원에서 한 번 시민사회 의견을 듣고, 시민사회에서도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야 되는 게 도리라고 생각한다. 그 과정이 공론화였다.

- 이 권고안은 적어도 몇 년 정도 지속돼야 하나. 앞으로 새 대입개편을 위해서는 이런 절차를 다시 거쳐야 하나.

▲ 일본이 논·서술형으로 대입 개혁을 추진했는데 용두사미가 돼 가고 있다. 논술을 채점해 낼 능력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입 개혁에서 가장 우선되는 문제는 국가가 미래 역량을 측정할 도구를 개발하고 객관적으로 채점해 낼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논술 채점 능력이 축적돼 있는데, 대입 개혁을 할 수 있을 만큼 더 축적되려면 최소한 7∼8년, 길게 10년 정도면 된다고 본다.

- ‘수능 위주 전형의 비율은 정하지 않되’라는 권고는 국가교육회의가 정하지 않으니 교육부가 판단하라는 뜻인가, 교육부도 정하지 말라는 뜻인가.

▲ 격론을 벌였다. 비율을 정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자료를 최대한 검토했는데 아무리 검토해도 예외가 나온다. 예를 들면 포항공대는 100% 학종(학생부종합전형)이다. 그래서 일정한 비율을 국가교육회의가 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교육부로 (수능)확대 의견을 보내면서 공론화위원회에서 제시한 자료들을 함께 사유로서 보낸다. 교육부가 더 많은 자료를 갖고 있으므로 그걸 바탕으로 정리할 거다. 국가교육회의는 교육부도 비율을 정하지 말라고 할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

- 교육부가 이달 말 최종안을 낼 텐데 수능 위주 전형 비율을 정한다면 공론화를 존중한 것으로 볼 수 있나.

▲ 그렇다. 우리가 (공론화) 통계 자료를 명확하게 주기 때문에 거기에 준거해서 정할 것이라 본다. /신경희인턴기자 crencia96@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