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울산지역 구호소 유명무실.. 원전 반경 30㎞ 안에 300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울산=최수상 기자】 #.고리원전으로부터 14km 떨어진 울산시 남구 선암동에 거주하는 주민 A씨가 비상 시 대피해야 하는 구호소는 옥산초등학교 체육관이다. 그런데 옥산초등학교는 고리원전으로부터 16km 떨어진 곳에 있다. A씨의 집과 불과 2km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방사능방재법은 원전을 기점으로 30km 이상 떨어진 즉,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밖에 구호소를 설치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A씨의 사례처럼 울산지역 관내 347곳의 구호소 중 300여 곳은 고리와 월성 원전으로부터 30km 안쪽에 위치해 있다.

15일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하 탈핵공동행동)에 따르면 이 같은 사실은 지난 6월 말 감사원의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감사에서 확인됐다. 핵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 발생 시 울산시민 전체의 88%를 수용해야 하는 구호소 대부분이 안전 실효성이 없는 '방사능비상계획구역' 내에 위치해 있는 셈이다.

탈핵공동행동 관계자는 "이같은 허점을 발견하고 지난 몇 년간 수차례에 걸쳐 울산시에 이의를 제기했지만 모두 묵살했다"며 "주변에 노후 원전이 많아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울산에서는 이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탈핵공동행동은 울산시 및 지역 5개 구군의 현행 방사선비상대응 행동매뉴얼도 수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일례로 비상행동매뉴얼에는 주민대피용 수송수단인 전세버스, 시내버스, 군경차량 외에 개인차량도 허용하고 있다. 개인차량을 이용할 경우 도로에 큰 혼잡이 발생하고 예기치 못한 사고 등으로 도로정체가 발생하면 핵발전소 최인접지역인 반경 10km 거주주민은 대피로를 확보하지 못해 피폭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수송수단이 부족한 것도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울산지역에는 90만 명 이상이 고리와 월성원전 기점으로 30km 이내 거주하고 있지만 울산시와 구군이 통합 관리하는 수송수단으로는 고작 12만1950명만 수송이 가능하다.

울산시 관계자는 "문제가된 관내 구호소 위치에 대해 개선방안 검토하고 있다"며 "우선 지정한 경남 밀양시 등 관외지역 210곳의 구호소에 대해 해당 지자체와 운영 협조를 논의 중이다"고 밝혔다.

ulsan@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