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장태민 기자] 6월 고용지표 상의 취업자수가 10만 6000명 증가했다. 이는 7만명대에 그치면서 8년 남짓 만에 최악을 나타냈던 5월 수치보다는 개선된 것이지만, 통상적인 시각에서 볼 때 여전히 부진한 것이다.
고용지표가 양호했을 때 보던 30만명 대 증가 등과는 거리가 먼 수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계청은 이제 인구 구조 변화를 감안해서 해석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예컨대 2017년 기준 15세 이상 전체인구는 전년대비 31만명 증가했으나 2033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 지난해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있어 단순히 취업자수 증가폭이 예년 수준에 못 미친다고 향후 이를 고용부진으로 해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의 분석을 보면 15~64세(생산가능인구)는 2017년부터 감소가 시작돼 전년대비 1만명 감소했으며, 2020년에는 24만명, 2024년에는 34만명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15~29세(청년층)는 2016년부터 감소가 시작돼 2017년에는 전년대비 9만명 감소했고 향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65세이상(고령인구)은 전년대비 31만명이 증가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가 진입하는 2020년에는 44만명 급증해 2025년에는 총 1,000만명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사회가 급속한 속도로 고령화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은 이에 따라 "고용동향의 취업자 증감은 인구효과의 영향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인구효과란 전년도의 고용률이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인구증감으로 인해 발생하는 취업자 증감분을 의미한다. 즉 '인구효과=전년대비 인구증감×전년도 고용률'로 구할 수 있다.
통계청은 "고용상황에 특별한 변동이 없는 경우 인구효과분 정도의 취업자 증감을 기대할 수 있다"면서 "향후 15~64세 취업자 또한 인구효과 측면에서는 감소가 예상되며 그 폭도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고용통계의 취업자 증감 분석 시 인구효과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인구증가 규모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취업자 증가 규모만을 보고 고용상황을 판단할 경우, 실제로 고용상황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해석을 내릴 우려가 있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통계청은 또 연령대별로도 인구증감 폭을 함께 고려한다면 특정 연령의 고용상황을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예컨대 2018년 6월 청년층(15~29세) 인구가 14.4만명 감소하고 취업자가 4.2만명 감소할 경우 고용률은 0.2%p 상승한다는 것이다. 즉‘비율지표’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통계청은 "고용률, 실업률 등 비율지표는 분모의 변화가 함께 반영되므로 인구가 급변하는 국면에서 고용상황을 판단하기에 보다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종합
- [연예]'황후의품격' 장나라, 황실비리 폭로 후 '목숨' 위기‥최진혁 '사망' [종합]
- [사회]거액 들여 140만 개 뿌렸는데…허사 된 '물고기 아파트'
- [경제]中·몽골 이어 베트남서도 첫 ASF…국내 유입 ‘비상’
- [정치]한국당, 왜 ‘2% 태극기 세력’에 휘둘리나
- [스포츠]모습 드러낸 빙속 노선영 "지금은 대응하고 싶지 않다"
- [사회]안희정 부인 2차 글 "피해자 주장만 받아들이고 정황증거 무시"
- [연예]'왜그래 풍상씨' 전혜빈, 이시영 몰래 2인1조 간이식 계획...오지호, 정신병동行(종합)
- [사회]"둘째 임신했어요" 회사에 알렸더니…"축하해요, 사표쓰세요"
- [스포츠]英 매체, "이승우, 한국의 '데이비드 베컴' 될 수 있어"
- [국제]인종차별 잇는 '무개념 디자인' 뭇매…패션계 왜 이러나
연예
스포츠
사회
경제
국제
IT
정치
문화
* 최근 30분간 집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 [탐사플러스] 마약·사기 논란 휩싸인 '독립운동가 후손' 오너 3세
- [단독] '무혐의' 이창명 "3년만의 복귀, 두려움 반 기쁨 반" (인터뷰)
- 공공기관 채용비리 182건 적발…피해자에 재응시 기회
- 현대제철 당진공장서 용역업체 근로자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숨져(종합)
- 달집 폭발사고 '안전불감증 탓'…경유 대신 휘발유 뿌려
- 靑 “블랙리스트 먹칠 삼가라” 한국당 “330개 기관 660명 달해”
- 거액 들여 140만 개 뿌렸는데…허사 된 '물고기 아파트'
- [단독] 입주민대표 아들에 ‘폭행·갑질’ 당한 경비원 “내가 마지막이길”
- 모습 드러낸 빙속 노선영 "지금은 대응하고 싶지 않다"
- 숙제 남긴 '탄력근로제 합의'…중소업체 직원들은 우려
-
[스포츠]
김민석, 동계체전 빙속 5000m 우승 스포티비뉴스
-
[사회]
'수병의 키스' 주인공 멘돈사 별세 조선일보
-
[정치]
'임시정부 수립일' 4월 11일 공휴일 추진 K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