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경기도, 빅데이터 분석 통한 가뭄피해 예측 시스템 구축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논밭에 대한 가뭄 위험정보를 분석해 제공하는 시스템을 선보인다.

도는 3억6,000만원을 들여 올 연말까지 화성·안성·평택·이천·여주 등 5개 시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반 가뭄 피해 예측 시스템을 시범 구축한다고 21일 밝혔다.

경기도의 ‘농업용수 공급분석 및 가뭄위험 예측’ 시스템은 지도기반 서비스에 관정, 저수지, 양수장 등 각종 수자원 정보와 기상정보를 연결한 후 가뭄 예측모형을 통해 가뭄취약지역을 분석해 주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정하면 그 주위에 있는 수자원 시설의 용수공급 능력과 지역 기상정보 등을 종합해 가뭄 취약 여부를 알려주게 된다.

도는 이번 빅데이터 분석사업 결과가 가뭄대응 능력 향상은 물론 농정분야 정책수립과 현황 파악, 개선사항 발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가뭄취약지역 분석을 통해 긴급 관정 설치, 임시 양수장 운영 등 가뭄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농업필지 인허가, 농경지 별 재배 작물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종서 경기도 빅데이터담당관은 “이번 사업으로 경기도가 농정분야 4차 산업혁명에 새로운 모델을 만들게 됐다”면서 “5개 시를 대상으로 우선 시범 추진한 후 내년부터 도 전역으로 사업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