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강원 여야, 막판 지지 호소…"압승해야"vs "독주 막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6·13 전국동시 지방선거일을 이틀 앞둔 11일 오후 강원 춘천시 호반체육관에서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가 투표용지 분류기를 점검하고 있다. 2018.6.11/뉴스1 © News1 김경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춘천=뉴스1) 하중천 기자 = 6·13 지방선거가 막바지에 다다른 가운데 강원도 내 각 정당이 도민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12일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은 “강원도민의 세 번 도전 끝에 유치한 평창동계올림픽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동북아 긴장완화의 계기를 만들어 냈다”며 “도민이 올린 평화의 닻은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강원도민이 심은 평화의 씨앗으로 강원도 중심시대인 ‘강원시대’ 열매를 맺어야 한다”며 “유일한 평화민주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승리로 낡은 지방 권력을 완전히 교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나라다운 나라, 든든한 지방정부를 강원도민의 손으로 완성해 진실과 정의가 반드시 승리한다는 것을 보여주시길 바란다”며 “변방에서 중심·대륙으로 뻗어가는 새로운 강원도를 만들어 도민에게 보답하고 강원도 중심시대를 열겠다”고 호소했다.

자유한국당 강원도당은 “이번 지방선거는 강원도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선거다. 남북화해, 한반도 긴장완화도 중요하지만 강원도의 경제와 민생도 중요하다”며 “지방선거에서 강원도까지 민주당으로 휩쓸리면 일당 독주 체제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견제와 균형이 없는 정치는 민주주의가 아니다. 제대로 된 견제를 할 수 있도록 자유한국당에 힘을 실어 달라”며 “보수의 싹까지 모두 없애버릴 수 없다. 보수 세력이 건전하게 성장해 강원도를 지킬 수 있도록 한국당의 작은 싹 만이라도 남겨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보수 및 자유한국당에 힘을 모아주신다면 잘못된 것은 바로잡고 바꿀 것은 과감하게 바꿔나가겠다”며 “강원도경제와 민생 제대로 챙겨 ‘잘사는 강원도’ 자유한국당이 만들어 내겠다”고 호소했다.

바른미래당 강원도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향후 4년간 강원도, 춘천시 등 18개 시·군을 이끌 수장과 이를 견제·감시할 지방의원을 뽑아야 한다”며 “도민들이 살고 있는 도시의 주거·교육환경, 교통, 복지 등 개인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들이 지역 당선자들을 통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선거과정을 보면 안타까운 부분들이 많다. 전 정권 탄핵의 연장선상에서 야당 후보들에게는 정당도, 정책도, 인물도 가리지 않고 박멸수준의 가혹한 선거분위기가 이어졌다”며 “반면 대통령의 인기에 기댄 정부여당 후보들에게는 무조건적인 지지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지방정치도 변해야 한다. 지방의회도 국회처럼 다당제가 필요하다.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싸울 때 바른미래당은 일하겠다”며 “중앙에 집중된 권한을 내려놓고 실질적인 지방분권을 실행할 수 있도록 올바른 개혁의길 바른미래당이 해내겠다”고 호소했다.

정의당 강원도당은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다. 이번 선거를 통해 지방자치가 화려하게 꽃필 수 있도록 도민들의 소중한 한 표 포기하지 말고 꼭 행사해 주시길 바란다”며 “정의당과 후보들은 이번 선거를 정책선거로 치루기 위해 그 어떤 정당이나 후보들보다 많은 노력을 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운동기간 다섯 번에 걸쳐 각 분야별 정책과 공약을 발표했다”며 “정의당 후보들은 생활밀착형 공약을 갖고 시민들을 만났다. 정의당은 매번 선거 때마다 선거 막판 사표논리로 곤욕을 치렀는데 이번 선거는 달랐다”고 강조했다.

또 “정의당은 도민의 성원에 힘입어 반드시 의회에 진출해 지방정부의 정책에 협조할 것은 하고 비판할 것은 제대로 비판하겠다”며 “지방정부 혁신과 지방의회 개혁을 위해 공기정화식물 같은 역할로 도민의 한 표를 무겁게 생각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치로 보답하겠다”고 호소했다.

한편 이번 6·13 지방선거 공식선거운동은 12일 자정 12시를 기점으로 종료된다.
ha3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