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대선 전 드루킹 일당이 작업한 댓글 1만9000건 보존 완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민주당원 댓글 사건'의 주범인 '드루킹' 김동원씨.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댓글 여론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해 대선 전후로 ‘드루킹’ 김동원(49, 구속)씨 일당이 댓글 작업한 인터넷 기사 자료를 확보해 분석에 나설 방침이다.

25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 수사팀은 드루킹 일당이 대선 7개월 전인 2016년 10월부터 대선 당일인 2017년 5월 9일까지 댓글 작업을 한 기사 링크(URL) 1만9000여건의 보존조치를 완료했다.

경찰은 이달 초 드루킹 측근 김모(필명 초뽀)씨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이동식 저장장치(USB)에서 2016년 10월부터 올 3월까지 댓글 작업이 이뤄진 포털 기사 URL 9만여건 관련 자료를 확인한 바 있다. 이 중 1만9000여건은 대선 전부터 당일까지 댓글 작업이 진행된 것으로 경찰은 파악했다.

경찰은 댓글조작에 관여한 드루킹의 카페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 회원들이 댓글 삭제 등 증거인멸을 시도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해당 기사들이 실린 네이버와 다음, 네이트를 상대로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해 자료보존에 나섰다.

경찰은 이들 기사의 댓글에 매크로와 같은 비정상적 수단이 사용돼 추천 수가 조작된 사실이 있는지도 확인할 방침이다.

다만 포털로부터 넘겨받은 자료를 분석하려면 일단 경찰 자체 데이터베이스(DB)에 다시 올리는 절차가 필요하고, 자료 분량이 적지 않은 터라 실질적인 분석 착수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진 2016년 10월부터 댓글 작업이 시작, 드루킹 일당이 조기 대선 가능성 등을 고려해 당시부터 특정 정치인의 유불리를 노려 불법 댓글 작업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드루킹의 핵심 공범인 박모(30, 필명 서유기)씨는 검찰에서 “대선 전부터 킹크랩을 구축해 댓글 작업을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드루킹 일당이 자체 구축한 매크로 기능 구현 서버 ‘킹크랩’을 이용해 대선 전부터 불법 댓글조작을 했는지, 그 과정에서 김경수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정치권의 관여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관련 증거와 진술 확보를 통해 계속 수사할 방침이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