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소득주도성장' 무색…소득 격차 역대 최대

댓글 6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양영권 기자] [(상보)1분기 월평균 가구 소득 3.7% 증가한 476만원…상위 20% 상승폭, 하위 20% 하락폭 역대 최대 ]

머니투데이

지난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4년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소득 증가가 소득 상위 계층에 집중된 반면 하위층의 소득은 오히려 감소해 소득 격차는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로 치솟았다. 고용 상황이 악화된 가운데 양극화까지 심화됐다는 얘기다.

저소득층의 소득을 높여 전체 소비를 늘리고 경제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소득주도 성장'이 무색해졌다.

◇ 소득 하위 20%, 임금 8.0% 감소 = 통계청이 24일 공개한 가계동향 조사 결과(소득부문)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전국 2인 이상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6만3000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다.

분기 소득 증가율로는 2014년 1분기 5.0% 이래 최고치다. 올해 사상 최대 폭으로 최저임금이 인상되는 등 전반적으로 임금 인상이 이뤄진 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소득 증가는 고소득층에서만 이뤄졌다. 가구 소득 5분위(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1015만1700 원으로 9.3% 증가했다. 4분위 가구(상위 40% 가운데 상위 20%를 제외)의 소득은 3.9% 증가한 561만3600 원이었다.

소득 하위 20%를 뜻하는 1분위 가구는 소득이 8.0% 줄어 128만6700원에 그쳤다. 또 2분위 가구 소득도 4.0% 줄어 272만2600 원이었다.

5분위 가구 소득 증가폭과 1분위 소득 감소폭은 각각 2003년 관련 통계 작성이 이뤄진 이래 역대 최대치다. 이에 따라 소득분배 지표는 크게 악화됐다. 가구원수 증가에 따른 소득 증가 효과를 배제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이용한 5분위 배율(소득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값)은 5.95로 역대 최고다.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 소득의 6배에 가깝다는 얘기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0.60 상승했고,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1.34가 치솟았다. 5분위 배율 표준 오차는 95% 신뢰구간에 0.17이다.

머니투데이

◇ 최저임금, 소득 양극화 조장? = 이처럼 소득격차가 커진 것은 소득 증가가 대기업, 상용직 위주로 이뤄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 2월 300인 이상 사업장의 임금은 18.7% 증가했다. 300인 미만 사업장 임금 증가율은 5.5%, 임시·일용직 임금 증가율은 1.0%에 그쳤다. 또 지난해 12월 결산 상장법인들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8%, 40%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1분기의 경우 설 연휴가 있는데, 대기업 상용직일수록 성과급과 수당을 많이 받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소득분배지표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저임금이 오히려 양극화를 악화시켰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가구원 중 최저임금을 받는 아르바이트생이 있을 경우 최저임금 상승이 전체 가구 소득을 높이는 데 긍정적이다.

하지만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고용 수요가 줄어들면 오히려 가구 소득이 급감할 수 있다. 실제로 올해 들어 도소매, 숙박·음식업종과 건설 일용직 등의 고용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1분위에 많이 포진해 있는 고령자들이 이들 업종의 일자리 감소로 피해를 입었을 수 있다는 얘기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 가구의 가구주 연령은 평균 63.4세로, 상위 20%(5분위) 49.2세에 비해 크게 높다.

기획재정부도 소득 1분위에서 70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이례적으로 높아진 점을 소득 양극화가 심화된 이유로 들었다. 1분위 가구주 가운데 70세 이상 비중이 지난해 1분기 30%대 중반에서 올해 1분기 40%대 중반으로 급증했다는 것.

최저임금 영향에 대해 도규상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최저임금이 고용이나 소득분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미쳤다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기엔 이른 측면이 있다"고 말을 아꼈다.

도 국장은 "소득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자활 노인 일자리 사업이나 근로장려세제(EITC) 강화, 기초연금 연금 인상 등 정책을 강화할 필요 있다"며 "결국 일자리를 늘이려는 노력과 함께 혁신성장을 좀더 가속화하는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2015년 소득을 기준으로 물가상승 효과를 배제한 실질 가계소득은 올해 1분기 2.4% 증가했다. 실질소득은 지난해 4분기 이래 2개 분기째 증가했다.

올해 가계동향조사는 전국 8000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원 면접을 통해 이뤄졌다. 올해 조사 대상은 지난해 5500 가구보다 확대됐다.

세종=양영권 기자 indepe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