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네팔 대지진 3년 더딘 복구…피해 주택 21%만 재건축 완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델리=연합뉴스) 나확진 특파원 = 네팔에서 8천8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규모 7.8의 대지진이 난 지 3년이 지났지만, 지진으로 부서진 주택 등의 복구는 현저히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네팔 일간 카트만두포스트 등에 따르면 2015년 4월 25일 발생한 지진으로 부서진 주택 67만6천849채 가운데 재건축이 끝난 집은 21%인 14만1천524채에 불과하다고 네팔 국가재건국(NRA)이 밝혔다.

연합뉴스

25일 네팔 수도 카트만두의 다라하라 타워 앞에서 카드가 프라사드 샤르마 올리 네팔 총리가 3년전 8천800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지진 희생자를 추모하는 연설을 하고 있다.[AP=연합뉴스 자료사진]



나머지 43만6천152채는 재건축이 진행 중이지만, 15%에 해당하는 9만9천173채는 아직 재건축을 시작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으로 파손된 유적지는 750곳으로, 이 가운데 40%가 넘는 324곳이 아직 복구작업을 시작하지 못했다.

부서진 학교 건물도 7천923개 가운데 3분의 1이 아직 재건축이 완료되지 않아 학생들이 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NRA는 2019년 7월까지는 피해 주택 재건축을 마무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월 취임한 카드가 프라사드 샤르마 올리 네팔 총리는 25일 3년 전 지진 피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건물인 다라하라(빔센) 타워에서 열린 추모식에 참석해지진 복구작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약속했다.

다라하라 타워는 1832년 당시 빔센 타파 총리가 9층·62m 높이로 만든 감시탑으로 네팔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지만 이 지진으로 맨 아래층 일부만 남기고 완전히 무너졌다. 당시 탑 내부에 있던 관광객 등 132명이 한꺼번에 사망했다.

네팔 당국은 더딘 복구작업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자금 부족을 든다.

지진 후 세계 각국이 복구 비용으로 42억 달러(4조5천억 원)의 지원을 약속했지만, 지금까지 16%만 실제 지급됐다고 유바라지 카티와다 네팔 재무장관은 밝혔다.

네팔과 이웃한 인도는 단일 국가로는 가장 많은 10억 달러를 별도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아직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25일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여성들이 3년전 대지진 희생자들의 사진을 보고 있다.[AP=연합뉴스 자료사진]



ra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