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대입개편 공론화 앞서 상반된 목소리…"학종유지" vs "정시확대"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능도 "전 과목 절대평가", "전 과목 상대평가" 주장 엇갈려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안 마련을 위한 본격적인 공론화 과정을 앞두고 교육단체별로 상반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서울교사노동조합과 좋은교사운동, 경기교육희망네트워크 등 23개 교육단체는 25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생부종합전형 유지·발전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전 과목 절대평가를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일부에서 '학생부전형을 축소하고 정시를 확대하자'는 쪽으로 여론을 호도해 초·중·고등학교 교육이 수능과목 위주 암기·문제풀이식 교육으로 회귀할 위험한 상황"이라며 "학종의 불공정요소는 제거하되 그 취지는 살려 유지·발전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를 시행해야 한다"면서 "수시모집과 정시모집 전형 시기를 통합하되 통합으로 학생들이 수능성적을 알고 대학에 지원하게 된다는 점을 이용해 대학들이 수능을 중시하지 않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고교학점에 도입에 맞춰 고교내신 전 과목에 성취평가제(절대평가)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학교현장 교사의 의견을 존중하며 대입제도를 시급히 설계해 국민 앞에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이라는 단체도 기자회견을 열고 수능 전 과목 상대평가와 대입에서 정시모집 비중을 50% 이상으로 높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이 단체는 또 "교육부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과 연계해 각 대학에 내린 수시모집 수능최저학력기준 폐지 권고를 철회해야 한다"면서 "수능 수학 가형 출제범위에 기하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교육부가 대입제도 국가교육회의 이송안을 발표하며 대입제도 큰 방향조차 제시하지 못해 학생과 학부모가 피 말리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서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퇴를 요구했다.

jylee24@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