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통일대비 '남북통합교육' 연구 본격화…"국어·사회부터 합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개년 연구'…"'남북교육과정통합위'서 교육과정 손질"

연합뉴스

통일교육주간을 맞아 통일 기원 플래시몹 하는 학생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통일 직후에는 남북 학생들이 언어와 이념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국어와 사회과목부터 교육과정을 통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통일에 대비해 남북한의 '통합 교육과정'을 구상하는 5개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3년차 보고서에서 김진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등은 통일 직후 남북 학생들이 점진적으로 공통된 교육과정과 교과서로 수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교육청 외에 가칭 '남북교육과정통합위원회'를 세워 교육과정을 손보는 방안이 거론된다.

교과목 가운데 가장 먼저 통합 작업을 해야 할 것은 국어와 사회다.

연구진은 "국어는 민족 동질성을 회복하고 서로 다른 문화와 체제에서 자라난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남북한 공통분모를 기반으로 학습자 요구를 충족하는 단일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통 능력을 키우고 남북 언어 차이를 극복해 주체적으로 의사 표현을 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연구진이 내놓은 국어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다.

연구진은 국어의 중요성을 고려해 모든 학년에서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하되, 초·중·고교 모두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교과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사회과목 역시 '통일 후 국가 정체성과 통일 한국 시민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키우는 데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현재 남한의 사회과목이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북한 사회과목은 체제에 대한 충성심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성격이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우선, 중·고교 사회과 교과목을 일반사회, 지리, 역사, 도덕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일제 식민지배나 광복을 위한 노력 등 남북이 공통으로 가르쳐 온 내용, 법·경제, 한반도의 지리,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 등 통일 한국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을 중심으로 학생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교과서의 경우 남북 분단을 가정한 내용이나 이념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내용 등은 빼고 기존 교과서를 사용하되, 점진적으로 통합 교과서를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북한 소학교(초등학교) 교과목인 '위대한 수령 김일성 대원수님 어린 시절' 등 지도자 개인의 우상화와 연결된 '특수교과'는 폐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분단 시기에는 통일교육이 정치 중립 원칙을 유지함으로써 이념 논쟁에 좌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보이텔스바흐 협약(통일 이전 서독의 정치가·교육자들이 만든 교육지침)을 참조해 통일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교육방법 개선 연구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ind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