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금감원 9일부터 삼성증권 특별점검…유령주식 배당·매매 집중 살펴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8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에서 열린 삼성증권 배당착오 처리 관계기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삼성증권의 배당 착오사태에 놀란 금융당국이 모든 증권사를 상대로 일제 점검에 나선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8일 오후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자본시장 현안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개최하고, 최근 삼성증권 배당 착오와 관련해 관계 기관과 함께 발생 경과 및 원인 등에 대해 점검하는 한편 향후 대응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논의 결과 먼저 금융감독원이 9일부터 삼성증권에 대한 특별점검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를 통해 삼성증권이 해당 주식을 보유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우리사주의 개인 계좌로 배당 처리를 할 수 있었는지, 몇몇 물량이 장내에서 매매 체결까지 이뤄질 수 있었는지에 대해 집중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사고처리 경과 등을 확인해 전산 시스템과 내부통제 문제 등을 철저하게 점검하고, 위법사항이 확인되면 관련 절차에 따라 엄중하게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아울러 유관기관과 함께 삼성증권을 포함한 모든 증권사의 계좌관리 시스템을 일제 점검하기로 했다.

자본시장조사단, 한국거래소와 공조해 관련 대량매도 계좌에 대해 연계거래 등을 철저히 분석해 시장질서 교란행위 등 불공정 거래 소지가 있었는지 여부도 철저히 조사할 예정이다.

당국은 이번 사건의 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진단해 주식시장의 매매체결 시스템을 개선하는 계기로 삼는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을 반장으로 한 ‘매매제도 개선반’을 꾸려 주식관리 절차 전반을 재점검하고 확인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개선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또 체결된 매매 물량에 대해 결제 불이행 등의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수탁기관인 삼성증권이 철저하게 처리하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6일 삼성증권은 우리사주 283만주에 대해 주당 1000원의 현금배당을 계좌별로 입금하는 과정에서 주당 1000주의 주식 배당으로 처리해 28억3000만주를 계좌에 입고했다. 이로 인해 하루 거래량을 넘어서는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주가가 11% 이상 급락하자 거래소는 거래를 2분간 제한하는 변동성 완화 조치를 7차례나 발동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삼성증권의 몇몇 직원은 잘못 배당된 주식의 0.18%를 매도하면서 도덕적 해이 논란이 확산됐다. 매도 물량은 501만3000주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삼성증권은 서둘러 배당된 주식을 환수 조치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