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美·英 "페이스북 정보유출·여론조작 혐의" …저커버그 사면초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기로에 선 페이스북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영국 등 전 세계 각국이 페이스북에 대한 일제 조사에 나선 것은 페이스북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과 가짜뉴스 등이 사회에 끼치는 해악이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페이스북에 수십억달러의 벌금 부과가 예상돼 이 회사가 사면초가에 처했다.

페이스북은 2004년 창업 이후 2018년까지 약 14년간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넘는 약 21억명의 가입자가 자발적으로 올리는 이름, 생년월일, 가족관계, 출신학교 등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광고에 활용하며 고속 성장했다. 페이스북 친구와 '좋아요'는 이용자 취향을 파악할 수 있는 페이스북 비즈니스의 요체다. 민감한 개인정보였지만 이용자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플랫폼임을 내세우며 각국의 규제를 피해갔다.

그러나 지난 17일(현지시간) 데이터 분석회사 케임브리지애널리티카(CA)가 페이스북이 수집한 개인정보를 불법으로 활용해 2016년 미국 대선 캠페인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측에 의해 활용됐다는 것이 폭로되고, 페이스북이 개인정보의 '제3자 이용'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페이스북은 사면초가에 빠졌다. CNBC가 이를 두고 "페이스북이 존재론적 의심을 받기 시작했다"고 보도했을 정도다.

미국의 경제검찰 격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재빨리 움직였다. FTC는 페이스북이 이번 스캔들의 중심에 있는 데이터 분석사 CA 측에 고객 동의 없이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볼 수 있도록 허용했는지에 대해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페이스북, 애플, 구글, 아마존 등 미국의 정보기술 기업에 대한 규제에 앞장섰던 유럽연합(EU)은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EU 의회의 안토니오 타야니 유럽의회 의장은 20일 트위터를 통해 "페이스북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불법 사용한 혐의는 우리 시민들의 사생활 권리를 침해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영국은 사법 당국이 직접 나섰다. 영국 사법 당국은 CA 사무실에도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할 계획이며, 데이미언 콜린스 영국 하원 미디어위원회 위원장은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에게 직접 의회에 출석해 증언해달라는 요구서를 보냈다.

페이스북 주주들도 집단행동에 나서는 모습이다. 블룸버그는 주주들이 개인정보 유출 파문으로 손해를 봤다며 지난 20일 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한꺼번에 터져나온 각국 규제 당국의 움직임에 뉴욕 증시에서 페이스북 주가는 이틀 연속 폭락했다. 지난 19일 6.77% 급락한 데 이어 이틀째인 20일에도 2.56%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실리콘밸리 = 손재권 특파원 / 서울 =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