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실무접촉 건너 뛴 美…“트럼프, 北결정권자 초대라 전격 수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실무접촉은 왜 하지 않느냐 질문에
美고위관리 “27년 허탕의 역사 보라”
“북핵 폐기·검증 없으면 만족 안 해” 강조


빅터 차 “북미 정상회담 실패 땐 전쟁 직전에 내몰릴 수 있다”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북한의 유일한 정책결정권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직접 만나야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믿음에 따라 파격적으로 북·미 정상회담을 수락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 폐기와 이에 대한 검증이라는 결과가 아니고서는 만족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한 고위관리는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정상회담의 선결요건인 실무회담과 같은 낮은 단계의 회담을 왜 먼저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지난 27년간 물밑에서의 낮은 단계의 접촉이 있었지만 결과는 역사에서 보는 바와 같다”고 밝혔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전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만나자는 초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김정은은 그들의 독특한 전체주의 체계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이어서 과거의 긴 고투를 반복하기보다는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의 초대를 받아들이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북한이 그들이 한 말을 행동으로 옮기기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 일가견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리는 북·미 간 정상회담 의제에 북핵시설 사찰 등의 조건이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검증은 영구적인 비핵화를 위한 어떤 종류의 거래(deal)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 결과가 아니고서는 만족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부터 대화의 대가로 북한에 어떤 보상도 하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번 회담 수용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결정에 따른 것이라는 방증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평양 방문 결과를 보고받은 트럼프 대통령이 그 자리에서 ‘북·미 대화에 나서겠다’고 말하면서 동석한 백악관 보좌진을 당황하게 했다. 정상회담 시기도 정 실장이 ‘5월이 좋지 않겠느냐’고 권유하자 즉각 ‘5월 북·미 정상회담’으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뉴욕타임스 기고를 통해 “북·미 정상회담이 수십년 된 분쟁을 끝낼 특별한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실패하면 전쟁 직전에 내몰릴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 석좌는 김 위원장의 ‘만남 요청’ 메시지에 한·미 연합훈련을 이해하고 추가적인 미사일 시험을 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그 대가로 건네야 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