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체감온도 기준은 왜 왼쪽 아닌 ‘오른쪽 뺨’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이근영의 기상이야기] 체감온도

오른쪽 뺨 온도 가장 낮아

약한 바람·낮은 기온에서

체감온도 하락 폭이 더 커



한겨레

소년, 얼굴, 초상, 뺨. 픽스히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들어 최강 한파가 닥친 12일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은 오전 8시17분께 영하 15.3도로 이번 겨울 들어 가장 낮은 기온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때 바람은 초속 0.9m밖에 안 돼 체감온도는 최저기온과 그리 다르지 않았다. 오히려 영하 14.9도를 기록한 오전 6시께 바람이 초속 2.3m로 다소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영하 20.4도까지 떨어졌다. 올해 최강 추위는 서울의 경우 오전 6시께 기록된 셈이다.

기상청은 인체가 강한 바람과 한기에 노출됐을 때 피부를 통해 빼앗긴 열 때문에 사람이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체감온도지수를 2002년부터 제공하고 있다. 2001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온도지수 공동관리그룹’(JAG/TI) 회의에서 채택된 이 지수는 캐나다 자원봉사자 1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코, 이마, 뺨, 귀에 센서를 붙여 피부온도를 측정하고 직장온도계로 심부온도를 재어 만들었다.

한겨레

연일 폭설과 한파가 몰아치던 2016년 1월18일 강한 바람과 함께 내리는 폭설에 옷깃을 부여잡은 시민들이 눈보라를 뚫고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2016년 기상사진전 장려상을 받은 김영근씨 작품이다. 기상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자원봉사자 12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이마, 턱, 얼굴 왼쪽 부위, 얼굴 오른쪽 부위 순으로 피부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왼쪽과 오른쪽 얼굴의 온도는 바람이 전혀 없는 영하 10도 조건에서 2도나 차이가 났다. 왼쪽 부위가 심장과 가까워서로 추정된다. 그래서 오른쪽 뺨을 체감온도 기준점으로 삼는다.

실험에서 기온의 경우 영상 5도에서는 풍속이 초속 0m에서 25m로 증가할 때 20도 정도 낮아지는 데 비해 영하 25도에서는 45도 정도가 떨어져 기온이 낮을수록 기온 감소 폭이 더 컸다. 또 풍속의 경우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 영상 5도일 때와 영하 25도일 때 체감온도가 20도 더 떨어지고, 초속 5m일 때는 38도가 떨어져 변화가 큰 반면 풍속이 높을 때는 변화 폭이 크지 않았다.

한겨레

전남 장성군 백양사에서 눈발이 날리다 멈추기를 반복하다 파란 하늘이 보이는 것도 잠깐, 강풍에 눈보라가 앞을 가리고 있다. 2017년 기상사진전에서 입상한 허용복씨 작품이다. 기상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체감온도 분포를 보면, 장기간 노출될 때 저체온증에 빠질 위험이 발생하는 영하 10도와 실제 극도의 추위를 느끼게 되는 영하 20도의 발생 빈도가 서울은 각각 7.12%, 0.32%인 데 비해 내륙지역인 수원은 각각 4.82%, 0.14%, 대전은 2.71%, 0.03%로 도심지역인 서울의 체감온도 발생 빈도가 높았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