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150조 주택도시기금부터 서울시까지…영업 경쟁 치열한 은행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택도시기금,수탁은행 6개서 5개로 줄여

서울시 금고, 연 예산만 32조…우리은행 100년 아성 지킬까

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 로고
5대 시중은행 본점의 로고, 위에서부터 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촬영 이세원]



(서울=연합뉴스) 박의래 김경윤 기자 = 지난해 국민연금 등 기관 고객 유치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했던 은행들이 연초부터 기관 영업 전쟁을 벌이고 있다.

주요 기관의 주거래은행이 되면 수십조원에 이르는 자금을 유치할 수 있으며 해당 기관 직원이나 거래 고객을 상대로 각종 상품 영업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그러나 은행들이 이런 운영권을 따내기 위해 출혈경쟁을 하다 보니 이로 인한 피해가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 100년 독점 서울시금고·150조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입찰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르면 이달 중 서울시금고 입찰 공고를 낼 예정이다.

선정된 은행은 내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서울시 예산과 기금을 관리하게 된다. 올해 서울시 예산은 31조8천억원이다.

서울시금고는 1915년 경성부금고 시절부터 100년 넘게 우리은행이 맡고 있다.

2014년에도 우리은행과 다른 시중은행들이 치열하게 경쟁했지만 결국 우리은행이 선택됐다.

이 때문에 이번에도 우리은행이 서울시금고를 가져갈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은행으로 넘어갈지를 놓고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서울시는 17개 광역 지자체 중 유일하게 단수 금고제를 운영하고 있어, 금융권에서는 서울시도 다른 지자체처럼 복수 금고제를 시행하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입찰을 앞두고 서울시도 단일 금고제를 유지할지를 검토하고 있다.

이날까지 입찰을 받는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선정도 은행들에 중요하다.

주택도시기금은 주택을 살 때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국민주택채권을 비롯해 주택청약저축예금, 기금운용을 통한 수익금 등으로 조성된다.

총자산은 2016년 말 기준으로 148조9천억원이다.

지금은 우리은행(간사은행)과 국민, 신한, 하나, 농협, 기업 등 6개 은행이 수탁은행을 맡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가 앞으로 수탁은행을 6곳에서 5곳으로 줄이기로 하면서 최소한 한 곳은 탈락할 수밖에 없다.

국민연금공단 외화금고 은행도 내달 13일까지 각 은행에 제안서를 받는다.

외환 금고 은행은 국민연금의 외화자산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은 우리은행이 맡고 있다.

국민연금 주거래은행과 수탁은행까지 모두 차지한 우리은행이 외환 금고 은행 방어전에도 성공할지 주목된다.

이 밖에 건설근로자공제회도 수탁은행을 선정하고 있다. 3년간 건설근로자공제회의 위탁자산을 관리하게 된다.

◇ KB·신한 리딩뱅크 싸움 치열…알짜사업 따내는 우리은행

이처럼 연초부터 기관 영업 관련 큰 장이 열리면서 은행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리딩뱅크 자리를 놓고 지난해부터 치열하게 경쟁 중인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의 대결이 주목된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신한은행이 5년간 맡아오던 경찰공무원 대출 사업권을 따냈다.

신한은행도 국민은행을 제치고 우리은행, 하나은행과 인천국제공항공사 제2 여객터미널의 은행·환전소 사업자를 차지하는 등 기관 고객 유치를 놓고 뺏고 뺏기는 쟁탈전을 펼쳤다.

그러나 가장 관심이 쏠렸던 운용자산 600조원의 국민연금 주거래은행은 우리은행이 가져가 은행권에서는 KB와 신한이 힘만 빼고 진짜 알짜사업은 우리은행이 가져갔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문제는 은행들이 기관 고객 모시기에 열을 올리면서 과도한 출혈경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은행은 경찰공무원 대출 사업권을 따오면서 최저 1.9%의 대출금리를 제시했고, 우리은행은 국민연금 주거래은행이 되면서 수백억원의 전산 인프라 비용을 모두 부담하기로 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국내 6대 은행의 시 금고 관련 출연금 규모는 1조원에 달했다.

은행들이 기관 영업에 과도한 비용을 지출하면 수익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개인 고객의 대출금리나 수수료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국내 시장은 한정돼 있고 성장은 해야 하다 보니 기관 유치 위해 과도한 경쟁을 벌이는 것 같다"며 "이런 영업 경쟁이 일반 소비자의 각종 수수료나 대출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laecorp@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