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뉴스 투데이] 골든글로브 레드카펫, 검게 물들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할리우드, 성폭력 퇴치 ‘타임스 업 캠페인’ 동참 / 배우·감독·제작자 등 검은 옷 착용 /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다신 없게’ / 강한 연대 표시… 배지 달고 응원도 / BBC 중국어 방송 女편집장 캐리 / 남녀 급여 불평등 지적 보직 사퇴

세계일보

“추행·차별·폭행 끝내자” 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베벌리힐스 베벌리힐튼호텔에서 열린 제75회 골든글로브상 시상식에서 TV미니시리즈 부문 작품상을 받은 ‘빅 리틀 라이즈’의 출연자 리즈 위더스푼(오른쪽 다섯 번째)이 동료 출연진 및 스태프와 함께 검은색 의상을 입고 수상소감을 밝히고 있다. 베벌리힐스=AP·NBC연합뉴스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캠페인이 확산하면서 미국 할리우드의 추한 이면이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영화·TV업계에서 권위를 자랑하는 골든글로브 시상식장이 온통 검은색으로 물들었다. 참석자들이 검은색 의상을 입었다. 검은 옷은 수십 년 동안 침묵 속에 고통받아온 성폭력·성희롱 피해자들의 집단적 항의를 표시하고 강한 연대감을 보여주는 것이다.

CNN 등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베벌리힐튼호텔에서 열린 제75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장에서 배우, 감독, 작가, 제작자들이 검은 옷을 입고 모습을 드러냈다.

참석자들은 가슴에 ‘타임스 업’(Time’s Up)이 인쇄된 배지를 달았다. ‘타임스 업’은 지난 1일 할리우드에서 일하는 여성 300여명이 1300만달러(약 139억원) 기금을 조성, 미국 사회에서 성폭력, 성희롱, 성차별을 없애기 위해 결성한 단체 이름이다.

거물 영화제작자 하비 와인스타인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고 폭로한 배우 애슐리 저드는 시상식 참석 전 인스타그램에 ‘#우리는 왜 검은 옷을 입는가’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올린 글에서 “남성의 절반은 여성이 리더 역할을 잘 해내고 있다고 여기고, 여성의 3분의 1도 그렇게 생각한다. 그럼에도 현실은 고위 리더들 가운데 여성은 10명 중 1명에 불과하다. 그래서 우리는 오늘 검은 옷을 입는다”고 주장했다. 배우 메릴 스트리프는 “사람들은 이제 힘의 불균형을 알고 있다. 그것이 우리 산업에서 권력의 남용을 초래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그것은 곳곳에 있었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배우 리즈 위더스푼, 케리 워싱턴, 브리 라슨 등도 소셜미디어에 글과 사진, 동영상 등을 올려 연대를 표시했다. 워싱턴은 “우리가 왜 검은 옷을 입느냐면 우리는 당신과 함께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연대한다. 우리는 함께 추행과 차별, 폭행을 끝낼 수 있다. 그리고 안전과 통합, 평등과 동등함을 창조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을 위해. 모든 산업을 위해”라고 썼다. 미국에서는 배우 더스틴 호프먼과 케빈 스페이시를 비롯해 감독 브렛 레트너와 제임스 토백 등이 성추행 혐의를 받고 있다.

한편 영국에서는 BBC 중국어 방송의 여성편집장 캐리 그레이시가 남녀 급여 불평등을 이유로 보직 사퇴했다고 BBC가 7일 보도했다.

30년 넘게 BBC에서 일한 그레이시는 이날 공개서한에서 “BBC는 비밀스럽고 불법적인 급여 문화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그는 “BBC 직원 중 15만파운드(약 2억1640만원) 이상을 받는 고액 연봉자의 3분의 2가 남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후 BBC는 신뢰의 위기에 직면했는데, 회사 경영진은 여전히 여성보다 남성의 노동이 더 값어치 있다고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BBC가 평등법을 위반하고 있으며 공정하고 투명한 급여 체계를 마련하라는 압력에 저항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BBC는 여성에 대한 어떤 조직적인 차별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트위터 등에는 BBC 직원을 포함한 많은 사람이 ‘#나는 캐리와 한 편’이라는 해시태그를 이용하며 그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이상혁 선임기자 nex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