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신생아 집단 사망' 이대목동병원에서 최근 발생한 의료 사고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16일 신생아 집단사망 사고가 발생한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에선 최근 몇년간 의료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중앙일보

17일 오후 서울 이대목동병원에서 정혜원 병원장(가운데)이 전날 오후 9시부터 11시까지 2시간 동안 이 병원 인큐베이터에 있던 신생아 4명이 잇따라 숨진 사건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허리 숙여 사과하고 굳은 얼굴로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17.12.17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9월 17일 이대목동병원에서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생후 5개월 된 영아에게 날벌레가 들어있는 수액을 투여했다. 사흘째 입원치료를 받던 영아의 부모가 발견했다. 영아의 부모는 수액 백과 줄 사이의 점적통에 작은 벌레가 한 마리 들어 있는 것을 보고 병원 측에 알리고 관할 보건소에 신고했다. 병원은 하루 뒤인 18일 식약처에 신고했다.

중앙일보

날벌레가 들어있는 수액. [중앙포토]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병원 측 과실이 아닌 수액세트 제조사 잘못인 것으로 확인됐지만, 병원 측의 관리 소홀도 도마 위에 올랐다.환아

부모가 발견하기 까지 의료진은 이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에는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결핵 확진을 받아 질병관리본부와 양천구 보건소 등에서 역학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영아 2명과 다른 직원 5명이 잠복결핵(결핵균에 감염됐지만,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17일 오후 서울 이대목동병원에서 정혜원 병원장이 전날 오후 9시부터 11시까지 2시간 동안 이 병원 인큐베이터에 있던 신생아 4명이 잇따라 숨진 사건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사과문을 발표하고 이동하고 있다. 2017.12.17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4년 7월에도 사고가 있었다. 좌우가 뒤바뀐 엑스레이 필름 영상으로 축농증 환자 500여명을 진단해 치료한 것.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 따르면 이대목동병원에서 잘못된 엑스레이 영상으로 진료받은 578명 중 양쪽 코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217명, 한쪽 코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123명이었다.

중앙일보

18일 오전 신생아 4명이 잇따라 숨진 사고가 발생한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에 설치됐던 &#39;임산부의 날&#39; 대통령표창을 알리는 현수막이 철거되고 있다. 2017.12.18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좌우가 뒤바뀐 엑스레이 영상 때문에 이상이 없는 쪽의 코를 치료받은 환자가 상당수다. 다행히 좌우가 바뀐 엑스레이 영상을 바탕으로 수술을 받은 사례는 없었다.

여현구 인턴기자 yeo.hyungoo@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