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리커창 “정지된 한중 무역 부처 채널, 재가동할 수 있을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가 15일 오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리커창 중국 총리는 15일 “경제 무역 부처 간 소통 채널이 정지된 상태임을 잘 알고 있다”며 향후 양국 경제 무역 부처 간 채널을 재가동하고 소통을 강화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이날 오후(현지시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난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경제 무역 부처 간 채널 재가동 요청을 받고 이같이 말했다고 윤영찬 대통령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이에 따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로 촉발된 중국의 경제 보복 조치가 완전히 풀릴 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과 리 총리는 지난 달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관련 정상회의가 열린 필리핀 마닐라에서 양자회담을 가진 이후 2번째 회동을 가졌다.

리 총리는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을 계기로 그동안 중단되었던 양국간 협력 사업이 재가동 될 수 있을 것” 이라며 “특히 잠재력이 큰 경제, 무역, 에너지, 보건 등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는데 보다 중요한 것은 후속 사업의 충실한 이행이며 많은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한국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으나 투자 환경이 악화된 것은 아니며 중한 관계가 발전하면 한국 기업은 많은 혜택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또 “한국은 2018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고 중국은 2022년 베이징에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게 된다”며 “한국의 동계올림픽 조직 경험을 중국이 배울 것이며 이 기간 중 많은 중국인들이 한국을 방문해 경기를 관람하고 관광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제안한 2018년, 2022년 양국 상호 방문의 해 지정 제안에 대해 리 총리는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앞서 “사드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분야가 많다”며 “비록 중국 정부가 관여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사드로 인해 위축된 기업과 경제 분야가 조속히 회복될 수 있도록 리 총리께서 적극 독려해 달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미세먼지 공동 저감, 의료협력 및 서해수산자원 보호, 4차산업혁명 공동 대응, 인적 교류 및 문화 교류 분야의 양국간 협력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일 정상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희망했고 리 총리는 “조속한 시일 내 삼국간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어제 문대통령께서 시 주석과 회동을 했고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중한 양국은 민감한 문제를 잘 처리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중한 관계의 미래를 확신한다. 왜냐하면 중한 양국은 같은 방향을 보고 함께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리 총리가 언급한 ‘민감한 문제’는 사드 문제를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시 주석도 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사드를 ‘모두가 아는 이유’라고 표현하면서 “ 적절히 처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지난 회담에서 날씨를 소재로 대화를 나눈 사실을 언급하면서 “일주일 지나고 나면 중국에 동지가 올 것”이라며 “동지라는 말은 바로 겨울철이 지나간다는 뜻이고 봄이 찾아온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중 양국은 모두 봄 날의 따뜻함을 기대하고 있고 중한 관계의 봄 날도 기대할만하다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모두 중한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지난번에 총리님과 바둑을 소재로 대화를 나눴었는데 중국과 한국의 관계를 바둑에 비유를 하자면 미생(未生)의 시기를 거쳐서 완생(完生)의 시기를 이루고 또 완생을 넘어서서 앞으로 상생(相生)의 시기를 함께 맞이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방중이 완생의 시기를 넘어 상생의 시기로 나아가는 첫 걸음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베이징=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