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현대차그룹, 2025년까지 38개 친환경차로 세계 3위 도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소전기차-전기차 투트랙 전략

아시아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박지은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이 2025년까지 현재 13개 친환경차 라인업을 38개까지 늘린다. 친환경차 전용 플랫폼을 만들고 하이브리드·전기동력·플러그인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올려 생산효율도 높인다. 현대차그룹의 강점인 수소전기차 양산 기술도 활용할 계획이다. 각국의 충전인프라 구축 상황에 따라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수출하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해 친환경차 세계 3위에 오르는 것이 목표다.

◇내연기관 ‘굿바이’ 친환경차 투트랙 전략
이기상 현대차 환경기술센터장 전무는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현대모터스튜디오에서 기자들과 만나 “2025년까지 38개 친환경차 라인업을 구축, 친환경차 시장 세계 3위에 도전하는 것으로 최근 목표를 확대 설정했다”고 밝혔다.

38개 친환경차 라인업은 승용차가 대부분이다. 상용차는 1톤 트럭만 포함됐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4년 LF쏘나타 신차 발표회에서 2020년까지 22개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올해 8월 FE미디어 프리뷰에선 2020년까지 31개까지 라인업을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친환경차 라인업의 핵심은 전기차와 수소전기차의 투트랙 운영이다. 현대차는 전기차와 수소차를 각국 상황에 맞게 수출할 계획이다. 전기차용 전력을 생산하는 과정이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일부 국가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전무는 “중국을 예로 들면 전기를 만들 때 석탄발전소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환경을 생각해 전기차를 타지만 정작 전기를 만드는 방식이 친환경적이지 않은 상황에 대한 고민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반대로 북유럽 국가들은 수력발전이 전체 전기 생산의 90%이상을 차지한다. 전기를 만드는 방식까지 친환경에 가깝다. 박재용 한국자동차미래연구소장은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전세계 모든 나라가 전기차 인프라를 적극 구축할 수 있는 전력수급 상황을 갖춘 것이 아니다”라며 “현대차가 수소전기차를 강화하고 있는 것은 각국 상황에 맞는 친환경차 라인업을 운영할 계획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전무 역시 “수소전기차와 전기차가 양립하는 시기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전기 SUV ‘코나’·차세대수소전기차 내년 출격
현대차는 내년 상반기 400㎞가량 달리는 장거리 전기차 ‘코나’를 출시한다. 이후엔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로 500㎞ 이상 달리는 전기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미래지향적인 독특한 디자인의 전기차가 아닌 고급 세단형 전기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기차 전용 플랫폼도 개발하고 있다. 전용 플랫폼 위에 배터리 탑재 용량과 디자인을 달리하면 전기차 라인업을 보다 손쉽게 늘릴 수 있다.

전고체 배터리·리튬에어 배터리 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 전무는 “국내 화학업체들과 전기차 배터리 성능개선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 리튬에어 배터리 등을 2020년 초반에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콩고 등 전기차 배터리의 필수 광물을 특정 국가가 독점하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수소전기차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심을 누빈다. 현대차는 내년 1월 1회 충전시 590㎞를 달리는 차세대 수소전기차를 출시한다. 이 차는 1년간 1만5000㎞를 달리면 성인 2명이 연간 흡입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주행 후엔 맑은 물만 남아 환경유해성이 ‘제로(0)’에 가깝다.

현대차는 전세계에서 수소전기차 양산기술을 보유한 3개 업체 중 한 곳이다. 이 전무는 “전기차를 만드는 업체는 전세계에 1200곳이나 된다. 하지만 수소전기차 양산은 현대차, 도요타, 혼다만 보유하고 있다. 중국 등 환경오염이 심각한 국가 정부에선 수소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높다”고 전했다.

다만 수소충전시설이 전국에 10개도 설치돼있지 않다는 점은 고민거리다. 충전인프라 구축 비용이 전기차 충천소의 20배가량 든다는 점도 수소전기차 보급의 난관이다. 현대차가 전국 10개 수소차 충전소 가운데 6곳을 운영 중이지만 대중화까진 턱없이 부족한 규모다. 국토교통부에서 올해 초 발표했던 복합충전시설 구축안 등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정권이 바뀌면서 추진 속도가 더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