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평택·고양·과천…내년 토지보상금 16조 넘게 풀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2년 이후 6년 만의 최대

사업지구, 여의도 면적 8.8배

수도권에 보상금 9조원 집중

"대토 수요 예년보다 늘 것"

중앙일보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일대 토지.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년 전국에서 각종 개발 사업을 통해 16조원에 달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릴 전망이다. 6년여 만의 최대 규모다. 보상금을 탄 사람들이 주변 지역에 다시 땅을 사는 이른바 '대토(代土)' 수요가 땅값 상승을 부추길 것으로 예상된다.

11일 부동산개발 정보업체인 지존에 따르면 내년에 산업단지·공공주택지구·경제자유구역·역세권 개발사업 등 전국 92곳에서 총 14조9200억원 규모의 토지보상이 이뤄진다. 도로·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의 예상 토지보상금(1조5000억원대)을 더하면 16조원 선이다. 2012년(17조원) 이후 가장 많다. 토지보상이 이뤄질 사업지구의 총면적은 73.45㎢로 여의도 면적(8.4㎢)의 8.8배에 달한다.

신태수 지존 대표는 "올해 대통령 탄핵 사태로 공영개발 사업 다수의 토지보상 일정이 내년으로 밀리면서 전체 보상금이 늘었다"고 말했다.

사업지구별로는 산업단지가 53곳, 7조3969억원으로 내년 전체 보상금의 절반(49.6%)에 육박한다. 이어 공공주택지구(7곳, 2조3267억원), 도시개발사업(11곳, 1조7893억원), 경제자유구역(6곳, 1조1906억원) 등의 순이다.

중앙일보

자료:지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상금 총액의 절반이 넘는 8조8334억원이 수도권 36곳에서 풀린다. 내년 4월로 예정된 경기도 평택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1조4000억원) 사업이 대형 사업으로 꼽힌다. 공공주택지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개발하는 고양 장항 공공주택지구와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가 지구계획 승인을 거쳐 각각 6월, 9월부터 토지보상이 시작된다. 과천 주암 공공주택지구(뉴스테이 촉진지구)는 지구지정 2년 6개월 만인 내년 말부터 토지보상에 들어갈 전망이다.

지방의 경우 부산·울산·경남에서만 울산다운2 공공주택지구, 진주 사천(항공) 국가산업단지 등 25곳에서 4조원 규모의 토지보상이 예정돼 있다.

신 대표는 "정부 대책으로 인해 내년 주택시장 전망이 밝지 않지만, 마땅한 대체 투자처가 없기 때문에 시중 유동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며 "대토 수요가 예년보다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