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삶과 추억] 71년 ‘10·2 항명 파동’ 희생양 오치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 내무부 장관, 4선 의원 별세

당시 김성곤 의원 등 실세와 알력

해임안 가결되자 박정희 격노

80년 신군부 등장 후 정계 떠나

중앙일보

오치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정희 정부에서 내무부 장관을 지낸 오치성(사진) 전 의원이 9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91세.

황해도 신천 출생인 고인은 육군사관학교 8기 출신이다. 동기인 김종필(JP) 전 국무총리와 함께 ‘5·16’을 주도한 핵심 8인 중 한 명이었다.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뒤 공화당 소속으로 6대 전국구 의원, 7·8·10대 지역구(경기 포천-가평-연천) 의원 등 4선 의원을 지냈다. 1969년 공화당 사무총장, 70년 정무담당 무임소 장관에 올랐다.

고인을 언급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이 71년 ‘10·2 항명 파동’이다. 71년 6월 박정희 대통령은 JP를 총리로, 고인을 내무부 장관으로 발탁했다. 69년 3선 개헌을 성공시킨 뒤 권력화된 공화당 4인방(김성곤·백남억·길재호·김진만)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관계자들은 증언한다.

고인은 장관에 임명된 직후 대폭적인 경찰 물갈이에 나섰다. JP의 회고다. “각 도의 경찰국장들이 상당액의 활동비를 김성곤(공화당 재정위원장)으로부터 매달 받고 있었다. 경찰국장들이 내무장관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무슨 일이 생기면 김성곤에게 먼저 보고했다. 오치성은 4인방의 손발 노릇을 했던 경찰을 대거 교체했다.” (『김종필 증언록-소이부답』)

그해 9월 30일 야당인 신민당은 오치성 내무장관, 김학렬 경제기획원 장관, 신직수 법무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당시 국회의원 204명 중 공화당이 113명이었다. 집권당이 마음만 먹으면 부결시킬 수 있었지만 10월 2일 표결에서 유독 고인의 해임안만 가결됐다(찬성 107, 반대 90, 무효 6표). 이른바 ‘10·2 항명 파동’이었다. 박 대통령은 격노했다.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에게 주동자를 색출하라는 지시가 떨어졌고, 공화당 의원 23명이 중앙정보부에 잡혀갔다. 김성곤과 길재호는 정계를 은퇴해야 했다.

고인은 78년 국회의원에 다시 당선됐으나 80년 신군부 등장 이후 사실상 정치권과 발을 끊었다. 주변에서 여러 차례 정치재개를 권유했지만 “부귀영화 누리고자 정치했던 거 아니다. 내 역할은 이미 끝났다”며 고사했다고 한다. 오히려 미국 하버드대로 유학을 떠나는 등 연구에 정진했다. 하버드대에서 1년간 고인과 함께 있었던 이건개 법무법인 주원 대표변호사는 “고인은 원칙적이었다. 미국 유학 시절엔 연구실에서 토론만 했다”고 말했다. 이 변호사는 “10·2파동 당일날 해임안이 통과된 뒤 고인을 만났는데, 눈물을 흘리면서 억울해 하셨다”고 전했다.

고인은 강직한 성품이었다. 69년 경기 가평에 홍수가 났을 때 현장을 일일이 둘러본 뒤 비에 흠뻑 젖은 옷차림으로 당정회의에 참석해 “탁상공론만 하지 마시라”고 큰소리를 쳤다고 한다. 이한동 전 총리는 “특히 낙후된 경기 북부지역을 되살리는 데 공이 컸던 분”이라고 회고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길선오씨와 장남 경서, 차남 경재, 3남 경훈씨, 장녀 혜민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 서울성모병원, 발인은 12일 오전 8시다. 02-2258-5940

최민우 기자 minwoo@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