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박정호의 창업 실전강의]<6>누구와 함께 창업하는 것이 유리한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창업경진대회나 창업교육 과정에서 마주치는 스타트업 기업 대부분은 1인 창업보다 공동창업인 경우가 많다. 사실 혼자서 창업을 준비하는 것은 여럿이서 함께 창업하는 것보다 그만큼 험난하다. 다시 말해 1인 창업자는 이미 많은 부분이 스스로 준비돼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창업 과정에서 소요될 자금을 상당 부분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창업 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여러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 완결성을 갖춘 창업자는 거의 없다. 이 때문에 혼자서 창업을 준비하던 사람들도 창업 준비 과정에서 결국 동업자를 찾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다면 누구와 동업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이런 질문에 우리는 흔히 대학 동기 내지 중·고등학교 동창과 같은 친구나 오랜 지인들을 떠올리는 경우가 흔하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가 그동안 접해 왔던 성공한 벤처기업 대부분은 대학 동창생끼리 모여 차고를 개조한 사무실에서 혹은 대학 동아리방에서 창업을 준비했다는 등의 스토리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이런 스토리를 많이 접하게 된 것은 대학 동창 내지 친구들끼리 창업하는 것이 보다 성공 확률이 높아서라기보다는 이처럼 비슷한 부류끼리 모여 창업하는 경우가 훨씬 많기 때문이다.

실제 관련 통계를 보면, 남성 또는 여성만으로 구성된 동성 창업팀이 혼성 창업팀보다 5배나 많다. 또 동일한 국적 내지 민족끼리 창업한 팀이 그렇지 않은 팀보다 46배나 많았다. 이뿐 아니라 출신 지역, 교육적 배경, 직무 경험이 유사한 사람끼리 모여 창업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많다.

이렇게 비슷한 부류끼리 모여 창업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궁극적으로 우리 인간이 비슷한 부류를 선호하는 동조 성향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창업 초기 비슷한 환경 속에서 놓여 있는 사람들 중에서 동업자를 구하기가 훨씬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공간적, 시간적, 문화적으로 근접한 사람들 속에서 동업자를 구할 가능성이 높다.

비슷한 부류끼리 창업할 경우 '속도'라는 실질적인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창업 초기에는 '속도 경영'이 커다란 강점이 될 수 있다. 스타트업의 경우에는 아직 별다른 수익이 없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성과를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제품 개발을 빠른 시일 내에 완료해 외부 투자자를 모집해야 한다. 역시 빠른 시일 내에 제품 생산 및 판매 성과를 보여야 한다. 자칫 성과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불필요한 회사 유지비용만 늘어날 뿐만 아니라 기존 투자자들조차 사업 모델에 의구심을 갖고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동질감이 높은 사람들끼리 모여 창업할 경우 보다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제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들끼리는 공통분모가 많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보다 원활하다. 또한 문제가 무엇인지 함께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서로 공유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또한 짧아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당연히 경영 전반의 속도감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비슷한 부류끼리 창업은 조금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 공동 창업의 가장 커다란 이점은 창업자간 상호보완성이다. 내가 인지하지 못한 사실, 내가 모르는 지식, 내가 알지 못한 인적 네트워크를 동업자를 통해서 보완할수록 시너지효과는 커진다. 하지만 비슷한 부류끼리 창업할 경우, 공동 창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네트워크, 관련 지식, 사회적 경험 등이 상당부분 겹칠 수 있다. 그렇다고 비슷한 부류의 동업자와 이질감 높은 동업자를 모두 보유하는 것이 해결책일수는 없다. 여러 동업자들 모두 만족시키려면 그만큼 높은 수익을 거둬야 하는데 창업 초기에는 이를 실현하기 쉽기 않기 때문이다.

창업 초기에는 예상치 못한 여러 난관에 직면하게 된다. 그때마다 많은 창업자들은 고독한 심정에 놓이고, 자신과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줄 동료가 그리워진다. 하지만 섣부른 동업은 더 큰 고민꺼리가 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KDI 전문연구원 aijen@kdi.re.kr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