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8 (수)

노동시간 OECD 국가중 2위…'과로 사회' 대책은 없나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과로사 문제를 취재한 강희연 기자가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한걸음 더 들어가겠습니다.

강 기자, 부끄럽고 안타까운 일이지만 우리 사회는 이미 세계적으로 심각한 수준의 과로 사회라고 볼 수 있겠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해 기준 한국 노동자의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은 2069시간으로 OECD 국가 중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깁니다.

전체 평균보다도 305시간이 더 많은데요, 일본과 비교하면 44일을 더 일한 셈입니다.

고 최완순 씨의 경우도 과도한 업무에 시달렸습니다. 최 씨는 사망 2주 전에 70시간을 근무했고, 12주 평균 60시간 이상 근무를 했습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발병 전 12주 동안 평균 60시간 초과할 경우 만성과로로 판단하는데요, 최 씨의 경우도 만성과로에 해당될 수 있는 것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과로사와 과로 자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조금씩 높아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인 것 같고요. 유가족들이 현재 가장 많이 호소하는 어려움은 어떤 것입니까?

[기자]

네, 남겨진 유족들은 가족의 빈자리를 슬퍼하기도 전에 산재 신청이라는 벽을 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산재 인정이 가능한지조차 모르는 무기력한 상황이 가장 힘들다고 말합니다.

유족들의 이야기,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김예숙씨/고 최완순씨 부인 : 산재를 당했을 때 당연히 회사에서 나서서 해주려니 하지 그게 예우 아닌가. 내 발로 나서서 산재 처리 절차를 아는 유족들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해요.]

[앵커]

그러니까 산재를 인정받기 어려운 이유는 입증 책임을 유가족들이 지고 있기 때문이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산재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고인이 장시간 근무했다는 사실을 유족이 스스로 입증해야 하는 겁니다. 하지만 그 자료를 확보하는 과정부터가 쉽지 않습니다. 노무사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김우탁/노무사 : 그 데이터가 다 회사에 있거든요. 회사에서 협조를 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고, 자료가 미비한 상태에서 사건이 진행되다 보니 승인율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습니다.]

실제 근로복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업무상 과로사 산재 승인 비율은 25.9%에 불과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산재 승인이 많을수록 회사에 불이익을 주는 사회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앵커]

산재도 그렇지만 유족들의 정신적, 심리적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대로 치유를 받지 못하면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유족들도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유족들은 가족의 죽음, 또 산재 신청이라는 문제들을 신경 쓰면서 정작 본인들 마음의 병에 대해서는 신경 쓸 겨를이 없는데요.

사실상 한국의 경우 제대로 치유해 줄 수 있는 기관이나 모임이 많지 않습니다. 전문가의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정주영/심리치료사 : 과로사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이런 심리 치료도 메뉴얼화 하고 체계 잡히고 사회적 지원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미 26년 전 과로사 유족 모임이 결성된 일본의 경우, 3년 전 과로사방지법 제정 이후에 정부 예산을 받으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임에는 유족뿐 아니라 변호사, 교수, 기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경험과 지식을 나누는데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문화가 정착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앵커]

네, 일하는 방식을 개선해서 과로하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인 것 같고, 산재 처리에 대한 개선책도 필요해 보입니다. 강희연 기자 수고했습니다.

강희연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