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특파원리포트]'만두' 민생행보 기획···'시 황제의 남자' 딩쉐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차 공산당 대회 직후 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으로 임명

대통령 비서실장과 경호실장, 부속실장 합쳐놓은 실세 자리

민생행보 기획으로 시 주석 집권 1기 뒷받침

[특파원리포트]'시 황제'의 남자 딩쉐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울을 거쳐 베이징에 도착한 지난 8일은 대통령 당선 꼭 1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그런 트럼프를 위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황궁 자금성(紫禁城)에서의 '황제 의전'이란 최고의 선물을 준비했다. 두 정상은 자금성 달빛 아래 차와 식사를 즐기고 황제들이 거닐던 공간을 되밟으며 밀담을 나눴다.

트럼프와 시진핑의 자금성 회동은 일반 관광객의 입장을 통제하고 소수의 인원만 수행하는 가운데 진행됐다. 이 때 시 주석을 그림자처럼 수행하는 사람이 있었다. 지난달 하순 19차 공산당 당 대회에서 정치국원으로 발탁되고 후속 인사에서 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으로 임명된 딩쉐샹(丁薛祥·55)이었다.

중앙일보

딩쉐샹(丁薛祥·55) 중국 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금성 회동 이튿날인 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장과 11일 베트남 다낭으로 자리를 옮겨 열린 한·중 정상회담, 중·일 정상회담에서 딩쉐샹은 시 주석의 오른쪽에 앉았다. 왼쪽에는 경제브레인으로 알려진 류허(劉鶴) 중앙재경영도소조 주임이 앉았다. 앞으로 시진핑 주석의 모든 정상회담에서 이 두 자리는 딩과 류 두 사람의 고정석이 될 가능성이 크다. 시진핑 1기 시절의 고정 배석자였던 '리잔수-왕후닝 콤비'가 상무위원으로 승진하고 '딩쉐샹-류허'라는 새로운 콤비가 탄생한 것이다.

중앙일보

이달 중국-베트남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에서 두번째) 옆자리에 앉은 딩쉐샹(왼쪽에서 첫번째) 중앙판공청 주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상회담 뿐 아니라 베이징에서 소집하는 주요 회의, 지방 시찰 등 시 주석의 모든 일정에 시 주석의 한발치 뒤에서, 혹은 시 주석의 바로 옆자리에서 시를 보좌하는 게 딩 주임의 임무다. 전임자인 리잔수(栗戰書) 상무위원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중앙판공청 주임은 우리로 따지면 대통령 비서실장과 경호실장, 부속실장의 역할을 모두 합쳐 놓은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시 주석의 일정 조정은 물론, 기밀서류를 포함한 문서 선별과 보고, 하위 당·정부 조직과의 연락 업무 등이 모두 중앙판공청 주임의 손을 거쳐 이뤄진다.

시 주석의 경호를 담당하는 중앙경위국도 거느린다. 중국 공산당의 수뇌부가 위치한 중난하이(中南海)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관장한다고 해 중난하이의 '대내총관(大內總管)'이라 부르기도 한다. 과거 황궁의 대소사를 책임졌던 황제의 문고리 권력에 빗댄 것이다.

중앙일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새로 중난하이의 주인이 되는 권력자는 반드시 중앙판공청 주임을 자신이 가장 믿을 만한 사람으로 앉혔다. 황제가 바뀌면 신하도 바뀐다는 ‘일조천자일조신(一朝天子一朝臣)’이란 말대로다.

때문에 이 자리는 국가지도자급으로 올라가기 위한 발판이기도 하다. 딩의 전임자였던 리잔수는 이번 당대회에서 서열 3위의 상무위원으로 발탁돼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자리를 예약해 놓았다. 그 전임자들도 마찬가지다. 마오쩌둥(毛澤東) 시절의 양상쿤(楊尙昆)과 왕둥싱(汪東興), 장쩌민(江澤民) 시절의 원자바오(溫家寶)와 쩡칭훙(曾慶紅), 후진타오(胡錦濤) 시절의 링지화(令計劃) 등이 오랫동안 중난하이의 대내총관이었던 사람들이다. 이 가운데 양상쿤은 국가주석, 왕둥싱은 상무위원, 쩡칭훙은 부주석, 원자바오는 총리로 올라갔다. 시진핑 집권이후 실각한 링지화만이 예외다.

시 주석은 자신이 스스로 '신(新)시대의 개막'이라고 선언한 집권 2기를 맞이하며 딩쉐상을 중앙판공청 주임에 발탁했다. 시진핑 1기의 중앙판공청 주임 리잔수는 시 주석과 30대 시골 현서기 시절부터 인연을 맺은 지기(知己)였다. 그렇다면 딩 주임은 시 주석과 얼마나 깊고 오랜 인연을 맺고 있을까.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두 사람의 인연이 그리 '오랜' 관계가 아니란 점이다. 시 주석이 집권하기 전 딩쉐샹과 알고 지낸 기간은 불과 7개월밖에 안된다.

딩 주임은 원래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였다. 장쑤(江蘇)성 출신인 그는 16세에 대학시험에 합격해 헤이룽장(黑龍江)성의 치치하얼(齊齊哈爾)에 있던 동북중형기계학원을 졸업했다. 지명도는 높지 않지만 당시 전국중점대학의 하나로 지정돼 입학 문턱이 높은 학교였다. 졸업후에는 기계공업부 산하의 상하이 재료연구소 연구원으로 배치돼 17년간 근무한 끝에 연구소장까지 올랐다. 1999년 그를 눈여겨보고 정·관계로 끌어들인 사람은 역시 엔지니어 출신인 쉬쾅디(徐匡迪) 상하이 시장이었다. 딩의 나이 37세때였다. 그는 상하이 과학기술위원회 부주임을 시작으로 구청장, 상하이 조직부 부부장 등을 거쳐 상하이 당위원회 부비서장으로 승승장구했다. 명석한 두뇌와 공학도다운 논리적 사고, 범상치 않은 문필력 등이 그의 장점이었다고 한다.

전형적인 상하이 지방관료였던 그의 운명을 바꾼 건 2006년 천량위(陳良宇) 상하이 서기의 실각 사건이었다. 저장(浙江)성 서기이던 시진핑 주석이 2007년 3월 천의 후임 상하이 서기로 부임해 온 것이다. 시 주석으로선 그 해 가을의 17차 당대회에서 차기 지도자감으로 낙점받기 직전의 마지막 시험대였다.

조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 시기, 그를 도울 최고의 인재가 절실했던 시 주석은 몇차례의 짧은 만남에서 딩의 자질을 궤뚫어 보고 당위원회 비서장 겸 판공청 주임으로 발탁했다. 두 사람이 손발을 맞춰 일한 시간은 불과 7개월이었다. 시 주석이 그 해 10월 상무위원으로 발탁돼 베이징으로 올라가면서 두 사람은 헤어졌다. 하지만 그 짧은 기간 동안 딩은 시 주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5년 뒤인 2012년 최고권력자가 된 시진핑은 잊지 않고 딩을 중난하이로 불러올렸다. 그에게 주어진 역할은 중앙판공청 부주임 겸 총서기판공실 주임이었다. 시 주석 1기 체제에서도 그는 눈에 드러나지 않게 시진핑을 보좌했다. 2013년 12월 집권 만 1년 남짓 지난 시 주석이 베이징의 서민들이 즐겨 찾는 허름한 만두집을 방문해 일반 시민들 틈에 섞여 식사를 한 일이 국내외에서 큰 화제가 됐다. 중국 지도자로서는 유례가 드문 이같은 민생행보는 시 주석의 대중적 인기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 때 시 주석의 바로 왼쪽에 앉은 이가 딩쉐샹이었다. 서민 행보를 기획한 장본인이 딩 주임이었다는 이야기다. 이밖에 사막 한복판의 위성발사장이나, 변방의 군부대를 시찰할 때에도 그는 늘 시 주석을 수행했다. 5년동안 부주임으로 시 주석을 만족시켰던 그가 중앙판공청 주임 자리에 오른 건 당연한 수순이었다.

중앙일보

2013년 12월, 집권2년차인 시진핑 국가주석이 베이징의 서민들이 즐겨 찾는 만두집을 방문해 시민들 틈에서 식사를 하고 있다. 시 주석의 왼쪽에 앉은 이가 당시 중앙판공청 부주임이던 딩쉐샹이다.




딩은 아직 나이가 젊어 미래가 창창하다. 이변이 없다면 그는 5년뒤의 20차 당대회에서 상무위원으로 올라가 10년간 자리를 지킬 수 있는 나이다. 이번 당대회를 계기로 딩 주임이 '포스트 시진핑' 레이스에 합류하게 됐다는 말까지 나온다.

하지만 그에게 부족한 한가지가 있다. 지방 성·직할시의 1인자를 맡아 본 경험이 없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참모 업무는 완벽하게 수행해 시 주석에게 100%의 만족도를 주었지만 리더십에 대한 검증은 아직 부족하다는 얘기다. 시 주석이 향후 5년간 자신의 오른 팔인 딩을 줄곧 판공청 주임으로 곁에만 둘지, 아니면 지방으로 내려보내 지도자 경험을 쌓고 부족한 경력을 보강하게 할 지 관심이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