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런던서 퇴출 위기 우버 새 CEO의 탄식 “나쁜 평판에 대한 대가가 이렇게 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우버의 새 CEO 다라 코스로샤히 <사진/ 다라 코스로샤히 링크드인>


"나쁜 평판에 대한 대가가 이렇게 크다."

우버의 새 CEO 다라 코스로샤히의 탄식이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영국 런던시 교통 당국이 우버(Uber)의 영업 중단을 결정하자 코스로샤히 CEO는 전직원에게 과거를 반성하고 다시 시작하자는 내용의 자기반성적 메일을 보냈다.

다라 코스로샤히 CEO는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이것(런던 교통 당국의 우버 영업 중단 결정)이 불공평하다고 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배운 것 중 하나는 변화가 자기 반성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분명 나쁜 평판에 대한 높은 비용이다"고 말했다.

우버의 새 CEO가 '반성' 과 함께 업무를 시작하게 된 것은 런던교통공사(TfL)가 이달 말로 끝나는 우버의 4년짜리 면허를 연장해 주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영국 런던은 우버의 핵심 시장이었다. 런던에서만 우버 기사 4만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우버 이용승객은 350만명(3개월 기준)에 달할 정도다. 중국에서 우버가 퇴출된데 이어 런던에서도 영업 정지가 실행되면 타격이 크다. 유럽의 다른 도시에서도 영국 런던의 사례를 들어 우버 퇴출이 벌어지면 걷잡을 수 없이 무너질 수도 있다.

런던교통공사(TfL)가 우버 퇴출을 결정한 것은 '기업 윤리' 때문이었다. TfL은 "택시 영업은 승객의 안전과 권리를 위해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며 "우버는 승객 안전을 위한 기준에 맞지 않고 택시 영업을 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실제 영국 런던에서 우버 택시 기사 일부가 범죄에 연루됐거나 건강검진 기록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적발되기도 했고 우버 기사들이 특수 앱(그레이볼)을 활용, 경찰의 단속을 피하기도 했다. TfL는 "(우버는) 기업의 책임이 결여됐다"고 꾸짖었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다라 코스로샤히 CEO는 반발하기 보다는 '반성하자'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그는 "앞으로 모든 일에서 성실히 행동하고 모든 도시에서 더 나은 파트너가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우버는 단순히 훌륭한 제품이 아니라 사회에 기여하고 비즈니스와 수익을 넘어서는 의미있는 회사라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다짐했다.

[실리콘밸리 = 손재권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